김대통령이 기업 투명성을 강조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김대통령은 그동안 노동자의 경영권 간섭에 반대하지만, 경영주도 노사협력을 위해 이에 상응한 노력을 해야 한다는 점을 누차 강조해왔다.
그러나 이번엔 대우그룹의 회계조작 등과 관련한 검찰수사가 한창 진행되고 있는 시점이어서 특히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여권 관계자들은 “23조원 규모의 분식회계를 통해 금융기관으로부터 10조원 이상을 사기 대출받은 것으로 드러난 대우사건 조사결과에 대해 김대통령이 진노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김대통령의 이번 언급으로 해외에 잠적한 대우그룹 김우중(金宇中)전 회장의 사법처리에 힘이 실리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있지만 회의적인 시각이 더 많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김 전 회장이 어느 나라에 있는지도 정확하게 모를 뿐더러 소재를 안다 하더라도 범죄인인도협정이 체결돼 있지 않으면 현실적으로 신병 확보가 어렵다”고 말했다.
<윤승모기자>ysmo@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