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통령은 이날 외교통상부 업무보고를 받고 “조지 W 부시 신 정부와 우리 정부 사이에 확고한 대북정책이 정립돼야 하며 한반도문제에 있어 북―미관계 발전도 중요하기 때문에 3월 한미정상회담에서는 이를 충분히 협의할 것”이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김대통령은 이어 “북―미간에도 미사일문제 등 안보환경 개선에 대한 합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하고 통상문제에 대해 “통상압력에도 대처할 수 있도록 미리 예방하는 노력을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다. 이정빈(李廷彬) 외교통상부장관은 이날 보고에서 한미정상회담(3월 7일) 이후 한반도 평화체제의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전방위외교를 펴는 등 5대 중점 외교과제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장관은 이날 국회 외교통상위회의에서 "김정일(金正日)국방위원장이 답방하면 (남북한) 평화협정 체결이 주요 의제 중 하나로 논의될 것"이라며 "남북한을 서명 주체로 한 평화협정이 조속히 체결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답변했다.
이장관은 또 "미국이 방미 중인 임동원(林東源)국정원장에게 김위원장 답방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는 것은 사실과 다르다"고 말했다.
<윤승모·부형권기자>ysmo@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