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원장은 이날 국회 정보위에서 “이 돈은 총선을 앞두고 95년 5월부터 96년 1월까지 모두 19회에 걸쳐 빠져나간 것으로 확인됐으며 국고수표 44장을 증거로 확보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임원장은 “당시 안기부는 국고수표를 일반수표로 교환한 뒤 수천개의 계좌에 이를 분산 입금해 놓고 필요할 때 이를 인출, 사용해 왔다”며 “정기예금 만기이자를 고려해 계좌에 입금한지 얼마 되지 않은 돈을 인출해 신한국당에 전달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95년 5월 상업은행과 투신사 등 4개 금융기관으로부터 257억원 △95년 10월 상업 국민은행과 투신사 등 4개 금융기관으로부터 140억원 △96년 1월 주택 서울은행 등 7개 금융기관으로부터 800억원 등 인출 내용을 소개했다.
그러나 임원장은 “예산 인출에도 불구하고 매년 예산 불용액과 안기부 예산을 정기예금으로 예치해 받는 이자 등으로 부족분을 메워 안기부의 경상경비 집행에는 문제가 없었다”고 말하고 “예산 불용액은 매년 150억∼200억원이었고 예산 이자는 600억∼700억원이었다”고 덧붙였다.
임원장은 “이같은 사실은 안기부 감찰실 등을 통해 당시 회계관계관 등을 자체 조사한 결과 확인한 것이며 현재 모든 계좌에 대해 확인작업 중”이라며 “안기부 예산이 인출된 계좌에 외부 자금이 유입된 사실은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한나라당 의원들은 “국정원의 설명에 따르더라도 안기부의 당해연도 본예산에서는 한푼도 유출된 것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며 “불용예산과 이자가 언제부터 별도로 조성됐으며 조성된 자금의 규모는 얼마인지를 추궁했으나 국정원은 전혀 설명하지 못했다”고 반박했다.
한편 한나라당 장광근(張光根)수석부대변인은 이날 “임원장의 답변은 ‘95년도 안기부 예산에서 1197억원이 몽땅 빠져나갔다’는 검찰 주장과 배치되며 특히 안기부 돈이 어떻게 신한국당에 들어갔는지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다”며 특검제 도입을 거듭 촉구했다.
<김창혁·박성원기자>cha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