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위원회의에서 정동영(鄭東泳) 최고위원에 맞서 동교동계 입장을 대변해온 안동선(安東善) 최고위원은 “인사권자인 대통령이 당 대표가 책임질 일이 없다고 보기 때문에 사의를 반려한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의원 워크숍에서 쇄신대상으로 지목된 권노갑(權魯甲) 전 최고위원은 기자들의 마포사무실 출입을 허락하지 않았고, 현안에 대해 한마디도 하지 않았다. 김옥두(金玉斗) 의원 등은 아예 전화통화가 되지 않았다. 한 동교동계 당직자는 “대통령 결정에 대해 동교동계가 무슨 반응을 보이겠느냐”고 말했다.
다른 중진의원들도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 이협(李協) 총재비서실장은 “당이 중심을 잡고 이 문제를 풀어가는데 핵심적 역할을 해달라는 뜻이며, 대통령은 국정수행으로 바쁘니 정치는 당에서 맡아달라고 당에 무게를 실어준 것”이라고 해석했다.
그는 또 “4일 최고위원회의는 대통령이 최고위원들을 설득하려는 회의가 아니고 다시 한 번 민심을 깊이 확인하려는 절차가 아닌가 생각된다”고 말했다.
김충조(金忠兆) 의원은 “대표의 사의를 반려한 것은 대표직을 신중하게 판단해야 할 자리로 보고 취한 조치일 것”이라며 “청와대 비서실의 인적 청산을 유보한 것도 마찬가지로 충분한 시간을 갖고 검토하려는 것으로 이해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소장파들 요구처럼 당정은 쇄신돼야 한다”며 “오늘 조치는 결론을 낸 것이 아니라 문제를 검토할 시간을 갖자는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문철기자>fullmoo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