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총련본부 첫 압수수색]조총련 “정치탄압 중단을”

  • 입력 2001년 11월 29일 20시 42분


일본 도쿄(東京)경시청은 29일 오전 지요다(千代田)구 후지미(富士見)에 있는 조총련 중앙본부를 압수수색했다. 조긴도쿄(朝銀東京) 정경생(鄭京生·64·구속 중) 전 이사장 등이 조총련 중앙본부 강영관(康永官·66·구속 중) 전 재정국장의 지시로 8억2000만엔을 빼돌려 강 전 국장의 비밀계좌에 입금한 혐의를 확인하기 위해서다.

이른 아침부터 중앙본부에 모여든 조총련 관계자 400여명은 한때 “경찰은 물러가라” “정치탄압 중지하라”는 등의 구호를 외치며 경찰의 진입을 저지해 몸싸움이 벌어졌다. 그러나 경찰이 기동대를 동원하고 조총련 간부들을 설득해 압수수색은 충돌 없이 끝났다. 경찰이 조총련 중앙본부를 수색한 것은 1955년 조총련 결성 이후 처음이다.

▼관련기사▼

- 일본 총련본부 첫 압수수색 해설

일본 언론들은 이 사건을 연일 1면 머리기사로 보도하고 있다. 아사히와 요미우리신문은 29일 사설을 통해 ‘횡령 과정과 돈의 흐름을 철저히 규명하라’는 사설을 게재했다.

일본 언론들은 △조긴도쿄가 조총련의 ‘지갑’역할을 했고 △조총련이 사실상 조긴도쿄를 지배했으며 △원칙 없는 융자로 경영파탄에 이른 데다 △가차명계좌로 불법적인 비자금을마련하는 등 금융기관으로서 기업윤리를 철저히 무시했다고 보도하고 있다. 또 빼돌린 돈의 일부가 북한으로 송금됐을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강 전 국장은 조총련의 실력자 허종만(許宗萬) 책임부의장의 최측근이자 조총련의 금고지기로 알려져 수사확대 여부도 주목되고 있다. 경찰은 이 사건과 관련해 이미 6명을 구속했다. 그러나 조총련측은 혐의사실을 전면 부인하면서 정치적 탄압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 사건은 지난해 10월 이후 답보상태에 빠져있는 북-일 수교교섭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총리는 “이번 수사는 국내법에 따른 것으로 북-일관계와는 상관없다”고 선을 긋고 있다.

<도쿄〓심규선특파원>ksshim@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