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경찰에 따르면 이미 구속중인 총련 강영관(康永官·66) 전 재정국장이 총련계 신용조합에 융자를 해주도록 직접 압력을 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강 전 국장의 부하였던 한 총련 간부는 경찰에서 “강 전 국장이 직접 신용조합에 전화를 걸어 총련에 융자를 해주도록 요구했다”며 “거부하면 좌천시키겠다고 윽박질렀다”고 진술했다.
함께 구속된 조긴도쿄 정경생(鄭京生·64) 전 이사장도 “강 전 국장이 지시하는 것은 총련이 지시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며 이를 어길 경우 일본에서는 살아갈 수 없다”고 진술했다는 것.
가차명계좌를 마련해 횡령을 사주한 것도 강 전 국장이 주도한 혐의가 짙어지고 있다. 강 전 국장이 가차명 계좌를 만드는 데 필요한 도장이나 서류를 직접 관리해 온 것으로 드러났기 때문이다.
도쿄신문은 이런 방법으로 총련이 94년부터 3년간 40억엔이나 융자를 받았다고 보도했다. 이 과정에서 담보도 거의 챙기지 않아 경영파탄의 원인이 된 것으로 드러났다.
총련계 신용조합이 장기간에 걸쳐 부실경영을 하게 된 것은 감독권한이 있는 지방자치단체가 철저하게 감사를 하지 않은 때문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마이니치신문은 사설을 통해 “감독관청이 (총련 금융기관을) 스스로 불가침의 성역처럼 대우해 온 것도 문제”라고 비판했다.
그러나 총련측은 이날 중앙상임위 명의로 성명을 발표하고 “총련의 모든 활동은 합법적이며 조긴 신용조합의 거래도 일본법에 저촉되는 것은 없다”고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총련은 “47개소 56회의 강제수색과 15명의 체포, 백수십명의 참고인을 낸 이 전대미문의 수색과 검거선풍은 민족적 차별에 찬 정치탄압 외에 아무것도 아니다”고 주장했다.
<도쿄〓심규선특파원>ksshim@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