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직자들은 대부분 교원정년 연장 문제에 대해 신중한 대응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교원정년을 62세에서 63세로 연장하는 실익이 대단치 않다는 여론이 많은 데다 이에 대한 학부모들의 반응이 좋지 않다는 게 그 이유였다.
이 총재도 이와 같은 견해를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교원정년 연장이 한나라당 당론이지만 실제로 법 개정까지 한 것은 성급했다고 판단한 듯 했다.
이날 이 총재를 만난 한 당직자는 “절대로 교원정년 연장을 무리해서 추진하지는 않을 것 같다. 3일 의원총회에서 방침을 정하겠지만, 어떤 경우에도 여당과 협의해서 처리한다는 식으로 가닥을 잡을 것 같다”고 전했다.
반면 신건(辛建) 국가정보원장과 신승남(愼承男) 검찰총장 탄핵에 대해선 강경론이 우세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신 총장에 대해선 “이번 기회에 오만하고 그릇된 검찰 문화를 손 봐야 한다”는 주장이 많았다는 것.
한 당직자는 “국민의 대표 기관인 국회가 출석을 요구하는데 공개적으로 불응 의사를 밝힌 것을 용납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신 원장에 대해선 신중론이 많았다는 후문이다. 두 사람이 11월 말까지 자진 사퇴하지 않으면 탄핵안을 낸다는 게 당론이지만, 국정원장 탄핵은 법적 무리가 있고 또 두 사람을 동반 탄핵할 경우 반발 여론이 커질 수 있다는 이유에서였다.
이재오(李在五) 원내총무는 “일단 두 사람 중 검찰총장에 대한 탄핵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이 훨씬 유리할 것 같다”고 말했다.
<정연욱기자>jyw11@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