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은 또 자민련 의원들과 가까운 당내 의원들을 총동원해 개별 설득작업도 병행했다.
한나라당의 중진 S의원은 “내 담당인 S, C의원을 만나 도와달라고 하니까 다들 ‘이 상황에서 무슨 말을 하겠느냐’고 하더라”고 전했다.
국회 각 상임위의 위원장 및 간사들도 별도 회의를 갖고 이탈 표 방지 작업에 나섰다.
이 총무는 “만약 우리 당 의원들 중에 반대 표가 한 표라도 나오면 총무직에서 물러나겠다”고 공언하기도 했다.
권철현(權哲賢) 대변인은 ‘신 총장 탄핵은 시대적 요구’, ‘신 총장의 7대 망언’이라는 제목의 논평을 잇따라 내고 “정치검사의 대명사인 신 총장을 단죄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나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탄핵안 가결 가능성은 극히 희박하다는 분석이 지배적이었다. 와병 중인 김태호(金泰鎬) 손태인(孫泰仁) 의원측도 “탄핵안이 통과되지도 않을 텐데…”라며 불참 의사를 내비쳤다.
이러다 보니 당직자들 사이에는 ‘네 탓 공방’도 벌어졌다. 일부 당직자들은 “이 총무가 전후 상황을 따져 보지 않고, 되지도 않을 탄핵정국으로 몰아가는 바람에 이회창(李會昌) 총재의 권위만 실추하게 됐다”고 비난했다.
그러자 이 총무는 “탄핵안이 부결되더라도 우리는 우리 의사를 분명히 밝히는 게 중요하다. 이 총재도 같은 생각인데 주변에서 공연히 쓸데없는 소리로 모함을 한다”고 불쾌해 했다.
<송인수기자>isso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