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의 한 고위관계자는 “신 총장의 사퇴가 불가피하다면 결정을 빨리 하는 것이 좋은 것 아니냐”며 “더욱이 14일 오전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의 연두기자회견을 앞두고 있는 만큼 가능한 그 전에 신 총장 거취 문제를 매듭짓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다른 고위관계자는 “신 총장이 중도사퇴하게 된 것은 유감이지만, 청와대로서도 다른 선택의 길이 없었다”고 말했다.
여권 내에선 신 총장의 동생 승환씨에 대해 특검팀이 구속영장을 청구한 직후부터 신 총장 사퇴론이 비등했다.
평소 신중한 언행으로 일관해온 민주당 한광옥(韓光玉) 대표가 13일 오전 신 총장의 거취를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우리도 고민하고 있는 대목이다”고 말한 것도 이런 기류를 반영한 것.
민주당 이낙연(李洛淵) 대변인도 “대표가 괜히 그런 말을 했겠느냐”고 말했다. 여권의 이런 견해는 신 총장의 동생에 대한 구속 영장이 발부되자 더 확연히 드러났다.
한 관계자는 “신 총장은 단순히 동생의 비위 때문이 아니라 정현준, 진승현, 이용호 사건 수사 전반에 대한 책임 차원에서 사퇴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13일 밤 검찰 내에서 ‘신 총장 중심으로 뭉치자’는 주장이 제기됐을 때도 여권 관계자들은 “신 총장이 그대로 남아 있는 것은 말도 안된다”고 주장했다.
한 관계자는 “신 총장의 동생에 대해 법원이 영장을 발부한 만큼 신 총장의 사퇴 없이는 정국을 수습하기 곤란한 상황”이라며 “작년 말 한나라당이 신 총장에 대해 탄핵안을 냈을 때와는 상황이 확연히 다르다”고 말하기도 했다.
윤승모기자ysmo@donga.com 윤영찬기자yyc11@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