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대표는 “말하는 것을 신중히 하고, 오해를 불러일으키도록 경솔하게 행동해선 안 된다. 집권당 대표가 말하는데 신중한 검토도 없이 함부로 얘기하고…”라며 “앞으로 조심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그는 회견 직후에도 청와대 일각에서 부정적 반응을 보이고 있다는 소리가 들리자 “내가 헌법과의 관계까지 고려해 검토하겠다고 했는데…”라며 불쾌한 심중을 드러냈었다.
분위기가 미묘하게 돌아가자 이낙연(李洛淵) 대변인이 유 수석에게 전화를 걸어 발언의 진의를 확인하는 상황에까지 이르렀다. 이에 유 수석은 “단지 신중해야 한다는 얘기를 한 것뿐인데 뜻이 와전된 것 같다”고 해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이 총재직을 사퇴한 이후 공개적으로 민주당과 청와대 사이에 불협화음이 빚어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회의에 참석했던 김원기(金元基) 상임고문도 “청와대의 누군지는 모르지만 언론에 그렇게 얘기하는 것은 단단히 나무라야 한다”며 “명백한 위헌이 아니라면 검찰총장 청문회는 필요하다고 본다”고 한 대표를 거들었다.
한 대표뿐만 아니라 민주당의 대선예비주자 7명 중 한화갑(韓和甲) 상임고문만이 인사청문회 대상 확대에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을 뿐 나머지는 적극 찬성하고 있다. 특히 검찰총장은 물론 국정원장과 국세청장 경찰청장 금융감독원장 등 5대 권력기관장에 대한 인사청문회까지 주장하는 예비주자도 적지 않다.
그러나 청와대의 관계자들은 여전히 부정적이다. 한 관계자는 “검찰총장에 대해 인사청문회를 하는 것은 현행 헌법 하에서는 명백히 불가능하다”며 “민주당의 당론에 대해서는 왈가왈부할 수 없지만 법적인 사안에 대해 의견개진은 할 수 있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윤영찬 기자 yyc11@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