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은 이번 사건의 파문이 당쪽으로 확산되는 것을 경계하는 분위기이다. 그러면서도 민주당 역시 이씨의 이권개입 및 위증 여부에 대한 철저한 수사를 촉구했다.
한나라당의 당3역회의 참석자들은 검찰이 이용호(李容湖)씨 사건과 관련해 이형택씨를 소환 조사하고도 보물 발굴 사업에 관여한 사실을 확인하지 못한 이유가 이형택씨의 과거 역할을 둘러싼 소문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형택씨가 예금보험공사 전무가 되기 전 은행권에 근무하면서 김 대통령의 야당 시절 비자금을 관리한 바 있어 검찰이 ‘계좌를 잘못 뒤지면 김 대통령의 비자금이 나올 수 있다’고 판단, 수사를 포기했을 것이라는 얘기였다.
장광근(張光根) 수석부대변인은 성명에서 “검찰 내부에서 ‘김 대통령의 비자금을 관리했던 이형택씨의 신분을 고려해 계좌추적을 하지 않았다’는 말이 흘러나온다”며 “권력핵심에서 계좌추적 불가 압력을 가했다는 의문을 지울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또 “김 대통령도 이에 대한 입장을 밝혀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상득(李相得) 사무총장은 “산업은행이 보물 인양업체인 삼애인더스가 발행한 해외 전환사채(CB)를 인수해 이 사업의 공신력을 높여줬다”며 “산업은행의 행위는 일종의 주가조작으로, 산업은행 총재가 개인적으로 그런 일을 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민주당 이낙연(李洛淵) 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똑같은 사건을 놓고 그간의 검찰수사는 왜 그렇게 부실했는지, 이형택씨는 국회 국정감사에서 왜 그리 터무니없는 거짓증언을 했는지 개탄스럽기 짝이 없다”며 “이런 문제(위증)에 대해 응분의 책임을 물어야 옳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보물 인양사업에 대해 특별검사팀이 깊숙이 파고들어 의혹의 진상에 접근하고 있는 것을 평가하고 특검팀의 지속적인 노력을 기대한다”고 밝히고 “이 사건에 대한 야당의 문제제기는 기본적으로 옳으나, 합리적인 선을 벗어나 근거도 없이 아무 말이나 쏟아내는 것은 옳지 않고 현명하지도 않다”며 덧붙였다.
자민련 정진석(鄭鎭碩) 대변인은 “이형택씨가 보물발굴사업 추진 과정에 국가 기관을 상대로 어떤 로비를 벌였는지 명백히 밝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송인수 기자 issong@donga.com
부형권 기자 bookum90@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