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9개각]'인사편식' 시비 불구 비서실 또 최측근 위주로

  • 입력 2002년 1월 29일 19시 10분


29일의 개각, 특히 청와대 비서진 개편은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의 ‘야당식 측근 정치’ 스타일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측근 정치는 끊임없는 인사 편식 시비를 낳았다.

청와대로 복귀한 박지원(朴智元) 대통령정책특보가 대표적인 경우. 박 특보는 현 정부 출범과 함께 대통령공보수석비서관을 맡은 것을 시작으로 문화관광부 장관, 대통령정책기획수석비서관 등 명칭만 바뀌었지 줄곧 ‘최측근’의 자리를 지켜왔다.

김 대통령은 또 이번에도 임동원(林東源) 외교안보특보를 유임시켰다. 임 특보 역시 대통령외교안보수석비서관, 통일부 장관, 국가정보원장를 거쳐 대통령특보에 임명돼 곁을 지키도록 했다.

민주당 쇄신파동의 와중에서도 한광옥(韓光玉) 대표에게 당을 맡긴 것이나, 김한길 구로을지구당위원장이 김대중정권의 ‘리베로’로 불리는 것도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다.

DJ를 오래 지켜본 민주당 이훈평(李訓平) 의원은 구설수에 오르긴 했지만 결정적 하자가 있었다고 보진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또 “사람이 없기도 하지만 누굴 데려다 써보면 꼭 무엇인가 튀어나와 곤욕을 치른 적이 한두 번이 아니었기 때문에 자연히 믿고 쓸 수 있는 ‘내 사람’에게 의존할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김 대통령의 소심하고 내성적인 성격 탓도 많다는 게 중론이다. 특히 박, 임 특보를 계속 지근거리에 두는 것은 믿는 사람이 아니면 속내를 드러내지 않는 김 대통령의 성격 때문이라는 것이다. 동교동계 인사들조차 두 사람에 대해서는 “우리도 그렇게 하지는 못할 것”이라고 할 만큼 DJ의 ‘가려운 곳’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한 치의 어긋남도 없이 일을 처리하다보니 대통령의 의존도가 커진다는 설명이다.

반면 그렇지 않은 수석비서관이나 장관들에게는 ‘교사 스타일’로 지시만 내리는 경우가 많아, 결국 대통령의 눈치만 보는 수동적인 존재들로 만들어 버리고 만다는 것이다. 김 대통령은 얼마 전 국무회의에서 장관들에게 “받아쓰기를 하지 말라”고 지시했지만, 장관들을 그렇게 만든 것은 다름아닌 DJ의 측근정치라는 게 관료들의 한결같은 지적이다.

김창혁기자 chang@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