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양대 게이트에 대한 대대적인 공세를 통해 대여 전선(戰線)을 명확히 함으로써 국민적 지지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계 개편 논의와 당내 비주류의 도전까지 잠재울 수 있다는 게 당 지도부의 생각인 듯하다.
남경필(南景弼) 대변인은 3일 기자간담회에서 “이번 임시국회에서 특별검사법을 개정해 ‘이용호 게이트’ 특검팀이 수사범위를 권력비리 전반으로 확대하고, 수사기간도 대폭 연장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물리적으로 특검법 개정이 어려우면 이용호 특검이 끝난 뒤 총체적 권력비리에 대한 특검 재구성을 요구하겠다”고 말했다.
특검팀이 이형택씨로부터 압수한 사과상자 한 개 분량의 통장 내용 등을 밝히려면 시간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특검 수사기간은 2차까지 연장하더라도 3월25일에 만료되며, 현행 특검법상 이형택씨가 개입된 의혹사건 전반에 관한 수사는 불가능하다.
남 대변인은 이어 “신승남(愼承男) 전 검찰총장을 비롯해 당시 검찰 수사라인도 소환 조사해 당시 사건 관련자들의 진술을 받고도 모른 척 했는지 등을 밝혀내야 한다”며 “특히 이명재(李明載) 검찰총장은 (이용호 게이트) 당시 수사라인에 있던 검찰 인사들을 문책해야 하며, 임박한 검찰 후속인사에서도 이들을 배제해야 할 것”이라고 요구했다.
한나라당은 또 ‘윤태식 게이트’에 대해서도 “검찰이 고작 김영렬(金永烈) 전 서울경제신문 사장과 김현규(金鉉圭) 전 의원을 구속하는 선에서 수사를 종결하는 것은 ‘깃털’만 처리하려는 것”이라며 거듭 ‘몸통’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 이낙연(李洛淵) 대변인은 “이용호 특검팀의 수사범위를 권력비리 전반으로 확대하고 기간을 연장하자는 야당의 주장은 여야 합의를 뒤집는 것”이라며 “취지에 어긋난 정략적 공세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정연욱 기자 jyw11@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