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당이 ‘초읽기’에 들어간 김덕룡(金德龍) 의원과 함께 7일 부총재직을 사퇴한 강삼재(姜三載) 의원의 독자 행보를 그대로 방치할 경우 당내 혼란은 더욱 증폭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 총재측은 특히 김 의원이 탈당할 경우 당의 개혁적 색깔이 퇴색하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 이 총재는 최근 개혁성향이 강한 소장파 의원들의 방문을 받고 “김 의원은 반드시 붙잡아야 한다”며 김 의원 설득을 위한 강한 의지를 피력했지만, 김 의원을 설득할 마땅한 카드가 없어 고심하고 있는 분위기다.
김 의원을 붙잡기 위해선 ‘이번 전당대회에서 집단지도체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김 의원의 요구사항을 받아들여야 하지만 당내 중진그룹들의 반발 또한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한 중진 의원은 “박근혜 의원의 탈당을 감수하고 전당대회 일정을 추진 중인데, 김 의원을 달래기 위해 또다시 이를 번복한다면 대다수 당원들이 당 지도부를 어떻게 보겠느냐”고 말했다.
그러나 이 총재 주변에서는 김 의원의 탈당을 막기 위해선 김 의원의 주장을 수용하는 방법밖에 없다는 얘기도 흘러나오고 있다.
한편 이 총재 측은 강 의원의 경우 김 의원과는 달리 설득의 여지가 남아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 총재 측은 강 의원이 김영삼(金泳三) 전 대통령의 의중을 대변하고 있을 것이라는 판단 아래 최대한 YS와의 관계개선에 주력하면서 강 의원을 끌어안으려 하고 있다. 하지만 강 의원은 여전히 독자행보를 계속할 입장이어서 결과는 미지수다.
정연욱기자 jyw11@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