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지금의 국정 운영은 현직 대통령의 책임 아래 이뤄지는 것이다. 대통령 후보가 개입할 일이 없다”고 선을 긋기도 했다.
김 대통령과의 관계를 ‘상호 불개입’ 관계로 설정함으로써 자연스럽게 ‘탈(脫) DJ’의 길을 걷겠다는 취지였다.
이 같은 언급엔 김 대통령 스스로 결단을 내려 달라는 뜻도 담겨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동안 ‘성역없는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거나 ‘내가 언급할 처지가 아니다’는 식의 원론적이고 소극적인 자세와는 사뭇 달라진 것이다.
그는 또 “과거 여당후보 처럼 (대통령과) 천박한 차별화는 하지 않겠다. 과거의 차별화는 인간적 도리를 벗어난 배신행위와 비슷한 것으로 공격행위 밖에 없었다”고 말하기도 했다.
김 대통령과의 차별화를 꾀하지 않겠다는 것이 아니라 과거의 집권여당 후보들과는 다른 방식으로 차별화를 시도하겠다는 얘기였다.
노 후보측은 우선 차별화의 형식에 있어 과거처럼 대선후보가 직접 나서는 모습은 피하고, 당 지도부와의 협의라는 공론화과정을 거치겠다고 밝히고 있다. 즉, 개인적으로는 DJ와 의리를 저버리지 않는 모양새를 갖추되 당의 집약된 의견으로 차별화를 건의하면 이를 자연스럽게 수용하겠다는 식이다.
노 후보측은 차별화가 불가피할 경우 철저히 정책 중심으로 해나갈 방침이다. 노 후보가 전당대회 직후 사조직인 지방자치경영연구원을 폐쇄키로 한 것도 DJ식 비선(秘線)정치를 배격한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김정훈기자 jngh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