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당직자와 원내외 지구당 위원장 300여명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대통령 세 아들 비리와 부패정권 청산대회’를 마친 직후 버스를 나눠 타고 세종로 네거리로 이동해 장외집회를 가졌다.
박관용(朴寬用) 총재권한대행은 이 자리에서 “온 국민이 현 정권의 부정부패에 분노하고 있다. 다시는 이 땅에 권력형 비리가 발붙이지 못하도록 야당이 나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홍준표(洪準杓) 의원은 “김대중(金大中) 정부의 권력비리는 자유당 시절을 능가한다”며 “대통령 자신이 수천억원대의 비자금으로 출발했고 세 아들의 비리까지 합치면 수조원에 이른다. 김 대통령은 물러나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권노갑(權魯甲)씨는 자유당 정권의 2인자였던 이기붕(李起鵬)씨 역할을 했고, 노무현(盧武鉉)씨는 김 대통령의 양자 노릇을 하고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지구당위원장들은 집회 후 청와대까지 가두행진을 하려 했으나 “집회신고가 없었다”며 제지하는 경찰과 한동안 몸싸움을 벌였다. 가두행진을 포기하고 대신 버스로 청와대 앞에 도착한 지구당위원장들은 1시간반 동안 시위를 했다. 이상득(李相得) 사무총장 등이 청와대를 방문해 조순용(趙淳容) 대통령정무수석에게 공개서한을 전달한 뒤 집회를 해산했다.
이에 앞서 이재오(李在五) 원내총무는 당3역회의에서 “우리는 99년말부터 2000년초까지 3대 벤처 게이트를 통해 조성된 비자금 중 사용처가 밝혀지지 않은 6000억원이 여당 선거자금으로 사용됐다는 확신을 갖고 있다”고 주장했다.
민주당 이명식(李明植) 부대변인은 이에 대해 “안기부 예산 1290억원을 빼돌려 총선자금으로 사용했던 한나라당이 걸핏하면 총선자금 의혹설을 제기하는 것 자체가 적반하장이다”며 “이재오 총무는 6000억원설의 근거를 제시하지 못할 경우 무책임한 폭로공세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할 것이다”고 반박했다.
정연욱기자 jyw11@donga.com
이종훈기자 taylor55@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