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우리가 특히 주시하는 것은 청와대라는 권력의 핵심이 검찰에 영향력을 행사하려 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다. 청와대 측은 강압수사 여부에 대한 사실을 확인하기 위해 청와대 행정관 박종이씨를 유씨에게 보냈다고 하지만 그보다는 더 적극적으로 ‘강압수사 폭로’를 종용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청와대 측이 그처럼 종용했다면 말이나 될 일인가. 설령 강압수사가 있었다 해도 담당 변호사가 나설 일이지 청와대가 나설 일은 아닐 것이다.
김 대통령은 아들들 문제에 대해 기회 있을 때마다 “검찰의 수사를 지켜보며 법의 결정에 따르겠다”고 말했다. 그런 점에서 이번 청와대 측의 행동은 김 대통령의 다짐과도 정면 배치된다. 검찰에 의도적으로 압력을 가하려 한 것이 아닌가 하는 의혹을 지울 수 없다.
며칠 전에도 민주당의 노무현(盧武鉉) 대통령후보와 한화갑(韓和甲) 대표가 검찰이 일방적으로 민주당만 몰아붙이고 있다는 식의 발언을 해 논란이 됐다. 지금은 권력을 잡고 있는 측이 조금이라도 검찰을 ‘건드리는 행동과 발언’을 한다면 본인들은 아무리 변명해도 그 의도에 대한 의심을 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청와대 측이 유씨의 거짓 진술을 종용한 내용을 담고 있다는 문제의 녹음테이프는 하루빨리 공개되어야 한다. 그 테이프의 내용에 따라 관련 인사들에 대한 철저한 법적 문책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검찰을 흔들려는 권력의 기도는 어떠한 것이든 차단되어야 한다. 그것이 바로 검찰의 중립을 보장하는 길이고 검찰 수사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는 길이다.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