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같은 사실은 본보 취재팀이 23일과 24일 민주당 현역의원 112명 중 73명을 대상으로 면접 또는 전화인터뷰를 통해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드러났다. 39명의 의원은 연락이 닿지 않아 조사에 참여하지 못했다. 이들 불참 의원들의 주류-비주류-중도파 분포는 조사 의원들과 비슷했다.
▽재·보선 후 재경선 여부〓노 후보가 제안한 재경선에 대해서는 ‘필요없다’는 응답자가 34명(46.6%), ‘선거 결과를 봐야 한다’는 유보적 입장이 19명(26.0%), ‘재경선해야 한다’는 응답이 13명(17.8%), ‘지금 즉각 후보직을 사퇴해야한다’는 강경한 의견이 7명(9.6%)이었다.
이같은 결과로 보면 ‘노 후보 중심으로 대선까지 가야한다’는 확고한 생각을 가진 의원 비율은 아직 전체의 절반에 약간 못 미치는 셈이다. 이는 민주당이나 노 후보의 선결과제가 ‘당내 구심력 확보’임을 시사한 대목이기도 하다.다만 유보적 입장을 밝힌 의원들의 숫자가 상당수인 점에 비추어 결국 재·보선 결과가 재경선 여부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신당 창당 여부〓노 후보의 재경선 문제와 ‘동전의 양면’의 관계에 있는 신당 창당 문제에 대한 견해는 재경선 여부에 대한 답변과 비슷한 분포를 보였다. 신당창당이 ‘필요없다’는 부정적 의견이 33명(45.2%), ‘필요하다’는 의견은 19명(26.0%), ‘당명이라도 개정하자’는 의견이 8명(11.0%), ‘상황에 따라’라고 답변한 응답자도 8명(11.0%)이었다.
신당 창당에 회의적인 의원들 중 상당수는 “가능성이 있겠느냐”며 실현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재경선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인 의원들도 노 후보의 대안에 대해 송영진(宋榮珍) 의원만 정몽준(鄭夢準) 의원을 거론했을 뿐 나머지 의원들은 구체적인 언급을 피했다.
▽‘탈 DJ’ 필요성〓‘필요하다’는 의견이 48명(65.8%)으로 우세했다. ‘필요없다’는 의견은 20명(27.4%)에 그쳤다. 특히 호남 출신 의원들 중에서도 상당수가 그 필요성을 인정했다. 따라서 김홍일(金弘一) 의원 탈당 및 아태재단 헌납 문제 등을 둘러싼 당내 논란이 본격화될 가능성이 크다.
▽노 후보 및 당 지도부 재신임 결정〓최고위원회의와 당무회의의 당 지도부에 대한 재신임 결정에 대해서도 의견이 팽팽히 엇갈렸다. 찬성하는 의원은 38명(52.1%)으로 절반을 약간 웃돌았고 반대하는 의견은 20명(27.4%)이었다.
특이한 점은 ‘지도부는 사퇴했어야 한다’는 응답자가 12명(16.4%)에 이르렀다는 점이다. 이는 노 후보의 재신임은 불가피했지만 한화갑(韓和甲) 대표를 중심으로 한 지도부는 책임을 졌어야 한다는 입장임을 보여준 것. 상당수 의원들이 ‘한 배’를 타고 있긴 하지만 노 후보와 한 대표를 분리해 생각하고 있음을 드러냈다.
윤영찬기자 yyc11@donga.com
정용관기자 yongari@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