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천(朴相千) 최고위원은 "이런 상황에서 금강산 사업을 계속 해야 하느냐는 회의적인 시각도 일부 있지만 금강산 사업을 이번 일로 포기할 경우 한반도가 전쟁위협국가로 다시 포함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유재건(柳在乾) 대통령후보 외교특보는 "이번에는 일방적으로 당했는데 북한이 의도적으로 치고 내려올 때는 어떻게 할 것인지 대책이 필요하므로 교전수칙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고 회의 분위기를 전했다.
그러나 북한측 의도에 대한 잇따른 질문에 정부관계자들이 "아직 정확히 모르겠다"고 얼버무리자 당 관계자들의 질타가 터져나오기도 했다.
배기선(裵基善) 기획조정위원장은 "정부는 북측이 (이번 일을) 사전에 계획한 것인지, 아니 면 군부 강경파의 소행인지, 김정일(金正日) 국방위원장이 알고 있었는지 파악조차 못하고 있다"고 목청을 높였다.
한편 노무현(盧武鉉) 대통령후보는 이날 "정부의 대북 정책 전반에 대해 새로운 검토가 필요하다는 국민일각의 문제제기가 있는 것같다"며 현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한 재검토를 시사하는 발언을 했다.
노 후보는 회의 직전 인사말을 통해 "군사적 위기상황은 종료된 것 같으나 아직 국민은 의구심을 갖고 있는 것 같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나 노후보측 유종필(柳鍾珌) 공보특보는 "일반적인 얘기를 한 것일 뿐 노 후보가 햇볕정책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최영해 기자 yhchoi65@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