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신(金洪信) 의원은 “수천억원씩 오가는 약값정책과 관련해 청와대가 가로막으면 주무부처인 복지부로선 대통령에게 보고조차 할 수 없는 것이다. 약값인하 정책을 통해 건보재정대책을 마련하려던 이 전 장관의 정책이 좌초된 것은 청와대 핵심관계자들의 작용이 없었으면 불가능한 일이다”고 주장했다. 한나라당은 그러나 더 이상의 구체적인 ‘청와대 개입 정황’은 내놓지 못했다.
그러나 복지부 관리들은 “구체적 경위는 알 수 없지만 갈등설의 진원지가 된 이 전 장관의 4월 보험재정절감 방안은 확실히 무리한 측면이 많았다”고 말하고 있다.
당시 복지부의 건보재정 적자 억제목표는 7600억원. 이것만 해도 여러 가지 변수가 많아 달성할 수 있을지 불투명한 상황이었는데 다시 4000억원을 더 줄인다는 계획에 대해 실무자들은 다른 생각을 갖고 있었다는 것이다.
복지부 내의 다른 라인을 통해 청와대에 실무자들의 이 같은 ‘다른 견해’가 전달돼 정책이 지연됐을 가능성이 더 크다는 얘기였다.
청와대 관계자들도 “복지부가 4월에 갑자기 재정적자 관리목표를 4000억원 수준으로 낮출 수 있다고 협의해왔으나 확실한 보장 없이 국민에게 발표하는 것은 오히려 신뢰를 잃을 수 있어 ‘수지 균형을 맞추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는 표현으로 조정 발표했을 뿐이다”라고 설명했다.
이 전 장관의 대통령 보고일정이 묵살됐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청와대 측은 “당시 각 부처의 업무보고 등 대통령의 일정이 많아 보고일정을 잡지 못했던 것이고, 당시에는 보고제목도 ‘건강보험재정 건전화 방안’이었지 약값인하 등 특정 주제가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조헌주기자 hanscho@donga.com
이철희기자 klimt@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