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로부터 불과 2시간 뒤 북측은 판문점을 통해 서해교전 사태에 대해 유감을 표명하는 전화통지문을 남측에 보내왔다. 김 대통령의 대북 강경 메시지가 나오자마자 북한이 즉각 ‘화답’하는 상황이 된 것이다.
이 때문에 정부 안팎에서는 김 대통령이 사전에 북측의 유감표명을 알고 있었는지 여부에 관심이 쏠렸다. 물론 청와대 측은 “김 대통령이 사전에 북측의 유감표명을 알았다면 그런 얘기를 했겠느냐”며 ‘사전 인지’ 가능성을 부인하고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최소한 김 대통령이 북측의 유감표명 ‘조짐’ 정도는 알고 있었으리라는 관측도 있다. 비록 서해교전 사태와 관련한 공식 접촉은 없었지만 남북관계에서 비공식 채널은 상시 가동되는 만큼 상당한 물밑교감이 있었을 것이란 분석이다.
이와 관련해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김 대통령의 강력한 사과 요구도 북한의 태도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한 압박수단의 하나였다”고 말했다.
이철희기자 klimt@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