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이 지역 어민들은 “1일 밤 11시부터 임진강 물이 불어나기 시작해 2일 오전 3시경에는 수위가 평소보다 2∼3m나 올라 연천군 군남면 등 임진강 중상류에 쳐 놓은 그물과 통발 등 수천만원어치의 어구가 떠내려갔다”고 주장했다.
어민들은 “당시 비가 내리지 않았으며 임진강 본류를 제외한 한탄강 수계 등은 물이 불어나지 않은 점을 들어 북한이 4월5일댐을 예고없이 방류했던 것 같다”고 말했다.
파주어촌계 장석진(張錫鎭·39) 계장은 “수위가 급상승한 사실을 임진강에 나가 있던 동료 어민으로부터 연락받고 간신히 어선만 대피시켰다”며 “재발방지책을 마련했다고 한 정부 발표는 어떻게 된 것이냐”고 말했다.
이 지역 어민들은 지난해 10월에도 4월5일댐을 방류하면서 그물 통발 어망 등 어구와 어선 일부가 유실되는 피해를 보았다. 당시 정부 당국은 재발방지를 위해 4월5일댐 바로 아래인 연천군 횡산면에 자동우량 관측 시스템을 설치했다.
이와 관련해 파주시와 연천군 관계자는 “당시 태풍 ‘루사’에 대비해 관내 어민들에게 어구 철수 등 대비책을 통보해 놓은 상태였다”면서 “갑자기 물이 불어나 연천군 군남면 등 저지대에는 경고 사이렌도 울렸다”고 해명했다.
고양〓이동영기자 argus@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