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몽준(鄭夢準) 의원이 주도하는 ‘국민통합 21’이 다음달 5일 독자 신당 창당을 앞두고 당대표감을 구하지 못해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실제 정 의원은 당권-대권 분리 원칙에 따라 당대표직을 겸하지 않는다는 방침만 세워놓고 있을 뿐, 인선난 때문에 당대표 후보의 윤곽조차 잡지 못하고 있다는 게 당 핵심 관계자들의 고백이다.
정 의원측 관계자들에 따르면 당초 창당준비위원장으로 추대하려던 이홍구(李洪九) 전 총리는 “후원회장으로서 후원할 뿐 어느 정파에 몸담지는 않겠다”고 선을 그었고, 고건(高建) 전 총리는 명지대 석좌교수 활동에 전념하겠다며 고사했다. 조순(趙淳) 전 서울시장은 한때 어렵사리 설득을 했으나 막판에 가족들의 강한 반대로 무산됐고, 이수성(李壽成) 전 총리는 참모들이 만류하는 바람에 무위에 그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정 의원측에서는 한때 박태준(朴泰俊) 전 총리와 김진현(金鎭炫) 전 문화일보 회장을 영입하자는 아이디어도 나왔으나 본인들이 정치활동에 뜻이 없어 결국 유야무야됐다.
▼관련기사▼ |
‘통합 21’ 관계자들은 영입만 실현되면 ‘당대표 1순위’로 기대를 모았던 한국미래연합 박근혜(朴槿惠) 대표마저 한나라당 복귀 가능성이 높아지자 더욱 고민하고 있다. 이철(李哲) 조직위원장도 “탈정치 이미지와 비중, 정치력을 함께 갖춘 인사를 찾는 게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이에 따라 정 의원측은 당대표는 ‘실무형’으로 인선한 뒤 공동선대위원장 중심으로 대선을 치르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박성원기자 swpark@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