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당국자는 25일 “북한 5㎿ 원자로 봉인장치가 제거된 뒤 북한 기술자 두세 명이 원자로 시설에 출입하고 있다”며 “아직 원자로를 재가동하기 위한 연료봉 재장전 움직임으로 이어지지는 않았지만 북한이 원자로를 재가동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북한의 준비상황을 모르기 때문에 정확한 판단을 내리기는 어렵지만 북한이 5㎿ 원자로를 가동하기 위해서는 한두 달의 준비기간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북한이 5㎿ 원자로를 재가동할 경우 그동안의 봉인 제거 등 준비작업에서 한 단계 뛰어넘어 국제사회와 정면 대치하는 상황으로 옮겨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관련기사▼ |
또 국제원자력기구(IAEA)측은 북한의 핵시설 봉인 제거작업이 시작된 뒤 핵활동 감시를 위해 북한에 상주 중인 사찰관 2명을 3명으로 임시 증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당국자는 “현재 IAEA 사찰관 3명이 핵동결시설에 대한 북한측의 특별한 이상활동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매일 점검하고 있다”며 “아직까지 북한은 사찰관들의 행동을 제지하지는 않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또 북한핵 문제의 대응책 마련을 위해 미국과 긴급 조율에 착수했다.
이와 관련해 제임스 켈리 미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는 내년 1월 초 조지 W 부시 대통령의 특사 자격으로 방한해 노무현(盧武鉉) 대통령당선자에게 북한핵 문제에 대한 미국측의 입장을 전달하고 의견을 조율할 것으로 25일 알려졌다.
이날 노 당선자측의 핵심관계자는 “미국측이 24일 ‘북한핵 위기가 급격히 고조되고 있는 만큼 특사 파견 시기를 당초 1월 중순에서 초순으로 앞당기겠다’고 전해왔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북한핵 문제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 마련을 위해 26일 김대중(金大中) 대통령 주재로 외교안보 관계장관회의를 연다.
김영식기자 spear@donga.com
부형권기자 bookum90@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