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적으로는 인수위 활동을 철저하게 현 정부의 정책에 대한 평가 및 분석 작업과 새 정부의 정책 노선을 가다듬는 데 주력함으로써 정권 인수작업이 15대 때 김대중(金大中) 당선자의 인수위의 경우와 같이 ‘권력 인수’로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을 피하겠다는 의지가 엿보인다.
또한 대선 공약 수립에 참여했던 인사들을 그대로 인수위에 참여시킴으로써 자신의 개혁노선이 새 정부 출범 이후에도 일관성을 갖고 실행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생각인 듯하다. 노 당선자가 대선 과정에서 자신의 개혁노선을 충실하게 뒷받침해 온 임채정(林采正) 정책위의장을 인수위 사령탑으로 기용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번 탈(脫)정치형 인수위 구성은 노 당선자의 첫 인사라는 점에서 앞으로 그의 국정 운영 방향을 가늠해볼 수도 있다.
인수위는 물론 새 정부의 첫 내각 구성에서도 정치인을 최대한 배제해 새 정부가 정치바람을 타지 않도록 함으로써 여소야대(與小野大) 정국을 헤쳐나갈 것으로 보인다.
노 당선자가 인수위에 정치인 배제 방침을 세운 것은 민주당의 당내 사정을 감안한 것이기도 하다. 자신을 지지하는 친노(親盧) 진영이 당을 완전히 장악하지 못한 상태에서 인수위에 현역 정치인들을 기용해 힘을 분산시킬 경우 당 개혁을 통해 집권 기반을 공고히 하겠다는 구상이 무너질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새 정부 구성 과정에서 논공행상을 하지 않겠다는 신호탄으로 해석하는 시각도 있다. 노 당선자의 한 핵심 측근은 “이번 인수위 구성의 의미는 당쪽 사람들은 정부 쪽은 쳐다보지도 말라는 뜻이 담겨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인수위 구성문제를 둘러싸고 친노 진영 내부에서 미묘한 갈등 기류도 나타나고 있다. 무엇보다 이번 대선 승리의 1등 공신 그룹에 속하는 선대위 핵심 멤버들의 불만이 크다.
이들은 “인수위는 공무원을 장악하는 것인데 인수위에 대거 참여할 것으로 예상되는 교수들이 공무원들을 제대로 다룰지 의문이다. 노 당선자의 생각이 너무 비현실적이다”고 비판하고 있다.김정훈기자 jngh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