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보다 노무현(盧武鉉) 당선자의 선거운동을 직접 지원했던 선대위 핵심 인사들이 ‘신주류’로 부상하면서 초·재선 개혁파 의원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정대철(鄭大哲) 최고위원과 이상수(李相洙) 김경재(金景梓) 의원 등 선대위 본부장 출신 의원들은 선대위를 해체한 뒤에도 ‘개혁모임’을 결성해 당 개혁을 주도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하고 있다.
이상수 김경재 의원은 26일 오전 노 당선자와 조찬 회동을 갖고 이 같은 뜻을 전달해 노 당선자의 동의를 받았다는 후문이다. 또 내년 초 노 당선자가 참여한 가운데 개혁모임 워크숍을 갖기로 했다고 이 의원은 전했다.
정 최고위원도 “우리가 킹 메이커 아니냐. 그런 만큼 우리가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선대위가 해체되더라도 일부 핵심 세력은 유지하며 노 당선자를 보좌하겠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개혁특위 구성에도 깊숙이 관여할 태세다. 한화갑(韓和甲) 대표는 이날 당선자측과 충분한 협의를 거쳐 특위를 구성하겠다는 뜻을 밝혔으나 개혁파의 핵심인 신기남(辛基南) 의원은 “선(先) 사퇴하지 않겠다면 결국 머무르겠다는 것 아니냐”며 즉각 사퇴를 주장했다.
현재 특위위원장은 당권과는 무관한 개혁적 의원을 물색 중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조순형(趙舜衡) 고문과 이 의원 등이 거론되고 있다.
한편 정균환(鄭均桓) 원내총무는 이날 오전 한 라디오방송에 출연, 조기 전당대회 소집 요구에 대해 “모든 것은 순리대로 풀어야 한다. 당에서 기구(특위)를 만들기로 했으면 거기에서 논의하고 결론을 찾아야지, 외부에서 혼란스럽게 하는 건 갈등으로 비칠 수 있다”고 비판적 입장을 밝혔다.
정용관기자 yongari@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