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한나라 개혁특위 과제-전망

  • 입력 2002년 12월 29일 18시 26분


◇민주당…“강력 개혁” 특위 힘실려

민주당은 29일 재창당 또는 신당 창당 수준의 개혁을 추진키로 하고 이를 총괄할 개혁특위 위원장에 김원기(金元基) 고문을 내정했다.

김 고문을 위원장에 내정한 데는 노무현(盧武鉉) 대통령당선자의 뜻이 반영된 것으로 알려졌다. 노 당선자는 자신의 정치개혁 의지를 ‘잡음 없이’ ‘강력하게’ 추진할 수 있는 적임자라는 판단 아래 김 고문에게 당 개혁을 책임지고 마무리해달라는 뜻을 전했다는 것.

김 고문은 특위 위원장 수락을 놓고 끝까지 고심했다는 후문이다. 한 핵심 당직자는 “김 고문에게 전화해서 ‘당선자의 결심이 선 것으로 알고 있는데 맞느냐’고 했더니 ‘어, 그래’라는 대답이 나오기까지 5분 걸렸다”고 전했다.

일각에서는 김 고문이 고심 끝에 차기 당권 도전에 나서지 않기로 마음을 굳혔으며 이미 당권 도전 의사를 밝힌 정대철(鄭大哲) 최고위원과 교통정리가 이뤄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김 고문은 전날 정 최고위원과 몇 차례 만났다.

한편 노 당선자측의 의견을 듣고 특위를 구성하겠다고 밝힌 한화갑(韓和甲) 대표는 “알았다”는 반응만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김 고문이 위원장을 맡게 됨에 따라 일각에선 특위의 위상과 권한이 한층 강화되면서 노 당선자의 대통령 취임 이전에 당 개혁 및 당권교체가 마무리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김 고문은 금명간 20명 안팎의 특위 위원을 인선한 뒤 내년 초부터 본격적인 개혁 작업에 나설 계획이다. 한 대표측의 설훈(薛勳) 조성준(趙誠俊) 의원 등도 위원으로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다.

특위는 원내중심 정책정당화, 지구당 폐지, 진성(眞性)당원 확대 등의 정치개혁 방안 및 지도체제 문제를 집중 논의할 전망이다. 그러나 당 일각에서는 “정책중심 정당으로 가는 게 바람직하나 중앙당 폐지는 우리 현실에 맞지 않고, 한나라당과도 균형을 맞춰야 할 문제이고 진성당원 확대도 말처럼 쉬운 게 아니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민주당은 30일 최고위원회의 및 당무위원회의를 잇달아 열어 특위 구성을 마무리한다. 공석인 사무총장에는 신주류의 이상수(李相洙) 의원, 정책위의장에는 정세균(丁世均) 의원을 내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용관기자 yongari@donga.com

◇한나라당…“제2창당 수준으로 쇄신”

한나라당이 30일 공식 출범할 ‘당과 정치개혁 특별위원회’ 구성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박종희(朴鍾熙) 대변인은 29일 브리핑에서 “특위 활동은 제2창당 수준에 버금갈 것”이라며 “위원 인선은 지역별, 선수별, 원내외별, 성별 기준을 감안해 두 위원장이 전권을 행사한다”고 말했다.

특위 활동의 일차적 관심사는 위원 인선문제. 공동위원장인 현경대(玄敬大) 홍사덕(洪思德) 의원은 29일 오후 회동, 구체적인 위원 인선작업에 착수해 30일 명단을 발표하기로 했다. 홍 공동위원장은 미래연대가 소속 회원들의 반수 이상 특위 참여를 요구한 데 대해 “무슨 소리냐. 소신껏 하겠다”고 물리치면서까지 특위 위원 인선에 고심하고 있다.

하지만 30명 안팎으로 구성될 특위 위원엔 수도권 출신 젊은 소장파 의원들이 대거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 박 대변인은 “당내 소장파 지구당위원장 모임인 미래연대와 희망연대 회원들이 전체 위원의 60∼70%를 차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개혁성 강화라는 명분을 외면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학계와 시민단체 등 당 밖 인사는 불필요한 잡음이 생기는 것을 막기 위해 자문위원 형태로 참여시킬 예정이다.

특위는 또 산하에 △정강 정책과 대선 공약의 입법화 △당헌 당규, 전당대회 운영 및 당무의 정보기술(IT)화 △권력구조 및 정치개혁, 대선 백서 발간 등 3개 분과위를 구성해 운영하기로 했다. 특히 정치개혁 분야에선 당내 반대가 심한 중·대선거구제 등 모든 현안을 다룬다는 게 특위의 방침이다.

한나라당은 또 분과별 토의 내용을 중간발표 과정을 통해 밝히고, 국민의 의견을 수렴하는 방식으로 논의를 해나갈 계획이다. ‘국민과 함께하는’ 모습을 보이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특위의 활동 방향을 둘러싼 당내 갈등의 불씨는 꺼지지 않은 상태다.

미래연대 원희룡(元喜龍) 공동대표는 29일 성명서를 내고 “현재의 최고위원회의는 모든 정치적 기능을 즉각 중단해야 한다”며 “전권수임과 위상확립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당 특위에는 참여할 수 없다”고 선언했다.

정연욱기자 jyw11@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