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시는 6일 작성해 발표한 ‘남북 경협사업으로 인한 DMZ의 훼손 우려와 대응과제’를 통해 “남북 경협이라는 상징적 의미 때문에 생태계 보전대책이 부족함에도 공사가 강행되었다”며 “DMZ를 지나는 철도와 도로는 고가(高架)로 건설해 훼손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DMZ를 포함한 민간인 통제선 북방의 파주시 면적은 시 전체의 20.5%인 139.08㎢에 이른다.
시는 또 철도와 도로 건설 이후 배후 지원시설인 물류유통센터, 남북합작공단, 면회소 설치 등 더 많은 면적의 DMZ가 훼손될 우려가 높다며 지금이라도 장기적인 생태보전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촉구했다.
특히 DMZ 1.8㎞ 중 복원되는 경의선의 경우 54m, 도로는 40m에만 생태 보호를 위한 터널이 건설되며 교량은 45m 규모 3곳뿐이고 대부분 지상을 관통해 생태계 파괴가 불 보듯 뻔하다는 것.
시는 주민 여론을 수렴하고 환경단체 등의 의견을 종합해 건설교통부 등 해당 중앙부처에 DMZ 보호대책 마련을 공식 건의할 예정이다.
이준원(李準源) 파주시장은 “정치와 경제논리가 우선됐던 DMZ는 이제 생태계에 초점을 맞춰 보호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시민단체 등이 참여해 실태를 조사한 뒤 그 결과를 사업 추진 부처에서 반영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파주=이동영기자 argus@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