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00억 진상규명 다시 쟁점화

  • 입력 2003년 1월 16일 18시 50분


한나라당은 16일 문희상(文喜相) 대통령비서실장 내정자가 “통치권 차원의 일이면 덮어야 한다”고 언급한 ‘현대상선 4000억원 대북지원 의혹’에 대해 특별검사제와 국회 국정조사를 관철하기로 했다.

그러나 민주당은 이날 한나라당의 국정조사 및 특검 요구를 ‘정치공세’라고 비난하며 받아들이지 않기로 결정했다.

양당의 대립으로 22일 본회의에서 처리할 예정이던 대통령직인수위법 통과 여부도 불투명해졌으며 인수위법 처리가 지연되면 노무현(盧武鉉) 대통령당선자의 첫 총리 지명과 조각 인선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기사▼

- 盧 취임전 政局풀기 나서나
- 여야공방 다시 격화
- "통치행위 이론은 억지주장"
- 계좌추적만이 의혹 풀 수 있다
- "대출과정-사용처 집중 추적"

한나라당 서청원(徐淸源) 대표는 이날 주요당직자회의에서 “4000억원 대북 뒷거래 의혹에 관해 국민은 실을 알고 싶어 한다”며 “특검과 국정조사를 수용하면 새 정부에 대해 외국처럼 6개월간 협조할 용의가 있다. 그러나 이를 매듭짓지 않고는 국정을 출발하는 노 당선자측이 국민의 엄청난 저항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종희(朴鍾熙) 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국민의 혈세를 국민과 국회의 동의없이 정권 안보를 위해 썼는데도 ‘통치행위’라는 말 한마디로 덮겠다는 것은 언어도단”이라며 “투명하고 신뢰받는 남북관계 확립을 위해서도 대북 뒷거래의 진상에 대해 낱낱이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규택(李揆澤) 원내총무는 이 같은 당의 방침에 따라 이날 오후 민주당 정균환(鄭均桓) 총무와 회담을 갖고 “4000억원 대북지원설에 대한 특검 및 국정조사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대통령직인수위법과 인사청문회법 등의 22일 국회 본회의 처리에 응하기 어렵다”는 뜻을 밝혔다.

그러나 정 총무는 “감사원에서 이미 감사를 하고 있고 일부는 검찰에 고소 고발돼 수사 중이므로 국정조사와 특검은 불가능하다”고 거부해 협상은 결렬됐다.

한편 양당 총무는 국가정보원장 검찰총장 국세청장 경찰청장 등 이른바 ‘빅4’에 대한 인사청문회 실시 원칙에는 합의했으나 국정원장 후보 청문회의 공개 여부 등에 대해서는 이견을 보여 결론을 내지 못했다.

박성원기자 swpark@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