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당국자는 26일 “IAEA 이사국들은 27일 회의에서 특별이사회를 2월 3일에 개최하는 방안과 개최 일자를 늦추는 대신 북한을 설득하기 위한 외교적 노력을 계속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또 “정부는 임동원(林東源) 대통령통일외교안보특보의 방북을 통해 북핵사태 해결의 돌파구가 마련될 가능성이 없지 않다고 보고 IAEA 이사회 의장과 이사국들에 특별이사회 개최를 늦춰 달라는 입장을 전달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미 국무부의 리처드 바우처 대변인은 24일 “IAEA 이사회가 아직 회의 날짜를 정하지 않았지만 이 문제에 관해 계속 논의 중”이라며 “우리는 IAEA 이사국들이 가까운 장래에 만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바우처 대변인은 또 “IAEA 규정상 안전조치협정 위반사항은 유엔안전보장이사회에 보고하도록 돼 있다”며 “북한 핵문제는 국제평화와 안보에 관계되는 문제이기 때문에 안보리가 이 문제를 맡아야 한다”고 말했다.
IAEA 특별이사회가 열릴 경우 북한이 핵확산금지조약(NPT) 탈퇴 선언 철회 등 IAEA 안전조치협정을 준수하겠다는 ‘특별한 움직임’을 보이지 않는 한 북핵 문제를 안보리에 상정할 것으로 보인다.
워싱턴=한기흥특파원
eligius@donga.com
김영식기자 spear@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