엊그제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아태평화위) 이종혁 부위원장은 현대아산의 2235억원 대북지원이 “현대와 아태평화위의 정상적 거래였으며 어떤 의혹도 없다”고 말한 것으로 SBS가 보도했다. 아태평화위는 이달 4일부터 14일 사이에 금강산 육로 시험답사와 시범 육로관광을 하자며 현대아산 이사회 정몽헌 회장과 김윤규 사장을 제일 먼저 통과하게 하자는 제안을 하기도 했다. 어제는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대변인이 임동원 대북 특사의 김정일 국방위원장 면담 불발을 관례에 맞지 않는다고 하는 것은 틀렸다며 오히려 임 특사가 최대의 환대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현재 드러난 남북관계는 북한의 주장과 달리 ‘정상적’이지도 않고 ‘허심탄회한’ 의견교환이 이뤄지는 단계도 아니다. 오히려 북한이 최근 영변의 핵연료봉을 이동시키는 것으로 의심되는 활동이 포착돼 미 정부가 대단히 심각한 문제라고 밝히는 등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북한이 핵개발을 위한 발걸음을 늦추지 않으면서 그들이 관련된 중대한 의혹에 대해 문제가 없다며 대남공세를 펴는 이유를 잘 헤아려야 한다. 북한은 의혹 제기에 대해 “북남관계를 차단봉쇄하고 동족간의 대결을 조장하며 평화와 통일을 가로막으려는 미국의 적대시 정책의 산물이며 불순세력의 반북모략”이라고 매도했다. 대북송금의 실체를 알고 있을 핵심인물로 출국금지 상태인 정 회장과 김 사장의 금강산 방문을 거론한 것은 남한의 실정법까지 흔들어보겠다는 의도로 분석된다.
북한은 핵개발 추진과 남한 여론 흔들기를 함께 달성하려는 이중전략을 쓰고 있다. 북한의 진실왜곡 선전에 한국 사회가 휘말리는 일은 없어야 한다. 정부와 국민 모두 북한의 핵개발과 대북송금은 반드시 실체가 규명돼 필요한 조치가 이뤄져야 하는 민족적 관심사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