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행은 이날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범죄적 수법이 개입돼 있는 이번 사건은 이제 특별검사가 아니고선 밝힐 수 없게 됐다”며 “차기 정권이 국민을 위한 국정운영을 하면 협력하겠지만 현 정권의 국민적 의혹사건 등을 감추거나 덮으려 할 경우 상응하는 조치를 취할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그는 △공적자금 비리 △국가정보원 도·감청 △권력실세들의 국정농단 △권력형 부정부패 등에 대한 국정조사와 특검도 함께 요구했다.
▼관련기사▼ |
그는 또 “민주주의가 발달한 오늘날은 대통령의 행위라고 해서 결코 성역이 될 수 없다”며 김 대통령의 책임론을 거듭 강조했다.
박 대행은 대북지원문제에 대해 “북한이 끝내 핵을 포기하지 않는다면 정부는 핵개발에 직·간접으로 이용될 수 있는 모든 자원의 협력과 지원을 중단해야 하며, 노무현 정부도 불투명하고 모호한 입장이나 관념적 태도를 버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한나라당 이규택(李揆澤) 원내총무는 “국회 상임위에서 사실관계를 확인하는 선에서 대북 비밀송금 의혹사건을 처리하자는 여권의 주장은 사건을 은폐하고 야당과 국민을 우롱하려는 것이다. 어떤 일이 있어도 2월 국회에서 특검법을 처리하겠다”며 특검법의 강행처리도 고려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박성원기자 swpark@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