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위가 당초 지구당위원장제를 폐지하는 개혁안을 마련한 것은 노무현(盧武鉉) 대통령당선자가 올 초 민주당 연찬회에서 “지구당위원장은 ‘제왕적’ 기득권을 버리라”고 주문한 데 따른 것이었다.
그러나 막상 지구당위원장제 폐지안을 확정하자 당 안팎에선 “내년 총선을 앞두고 무장해제하자는 것이냐”는 반발이 쏟아져 나왔다. 원외 지구당위원장들은 “지구당을 내놓으면 무슨 방법으로 유권자와 접촉하느냐. 명함도 못 돌리게 돼 있는데…. 한나라당이 쾌재를 부르고 있다더라”며 입을 모았다.
이처럼 논란이 확산되자 김원기(金元基) 특위위원장은 12일 정대철(鄭大哲) 최고위원, 이상수(李相洙) 사무총장 등 신주류 인사 12명과 만나 의견을 들었다. 이 자리에서도 반대의견이 다수였다는 후문이다.
결국 모임이 끝난 뒤 김 위원장은 “특위를 한번 더 열어 이 문제를 다시 논의할 수도 있다”고 말해 재검토 가능성을 내비쳤고, 정 최고위원은 “이 문제에 대해서는 수정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지구당위원장제 폐지안의 시행시기를 내년 총선 이후로 미루든지, 지구당위원장제를 존속시키되 지구당위원장의 전횡을 막는 보완책을 마련하는 쪽으로 가닥이 잡힐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다만 특위 간사인 천정배(千正培) 의원을 비롯한 일부 특위위원들은 “지구당위원장제 폐지가 관철되지 못하고 개혁안이 후퇴하면 민주당은 망한다”고 주장하고 있어 진통이 예상된다.
한편 이 외에도 특위안을 놓고 당 안팎에서는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10인10색의 다양한 반응이 나오고 있다.
66명으로 구성되는 당 중앙위원회를 당 최고의결기구화하되, 8월경 전당대회를 열 때까지 임시 집행부를 구성한다는 특위안에 대해 일부 구주류 중진들은 “개혁을 빌미로 밀어내기를 하려는 것 아니냐”며 긴장하고 있다.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를 주장해 온 신주류 일부 인사들도 “특위안을 존중한다”고 말은 하지만 내심 탐탁지 않은 기색이다. 반면 중앙위에 청년과 여성 몫을 할당하기로 한 데 대해 젊은 남녀 당직자들은 크게 반기는 분위기다.
정용관기자 yongari@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