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주도하는 움직임을, 실현 가능성이 낮은 최악의 시나리오까지 상정한 최대한의 대비일 뿐이라고 낙관적으로 생각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결코 최악까지 가지는 않을 것이라고 장담할 수 없는 현재 분위기까지 무시하기는 어렵다. 작년 10월부터 위기를 고조시켜 온 북한은 마침내 영변의 5MW 원자로를 재가동해 94년 북-미 합의 이전으로 상황을 되돌렸다. 미국이 묵과하지 않겠다고 밝힌 핵연료 재처리를 준비하고 있다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다.
북한의 위기 고조 전략에 제동을 걸어야 할 절박한 시점임을 부인하기가 어렵지 않은가. 그렇다면 정부는 분명하게 한계선을 그어야 한다. 북한을 향해 핵무기 제조를 위한 것으로밖에 판단할 수 없는 핵연료 재처리는 용인할 수 없다고 선언해야 한다. 북한의 주장대로 원자로 재가동에까지 이른 그동안의 핵 관련 활동이 전력을 얻기 위한 것이라면 그들이 딴소리를 할 이유도 없을 것이다.
더구나 북한은 노무현 대통령의 취임을 전후해 심각한 ‘도전’을 했다. 취임식 전날 미사일 발사훈련을 했고 취임식 다음날 원자로를 가동했다. 북한은 새 정부를 시험한 것이다. 도전을 외면하고 침묵하면서 북한의 자제를 기대하는 것이 새 정부의 대북정책이 아니라면 당당하게 ‘응전’을 하는 것이 옳다.
국민의 불안을 방치하는 정부는 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없다. 만약 미국과 일본이 사태를 과장하는 것이라면 그렇지 않다고 국민을 설득하는 노력이라도 해야 한다.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