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양국은 또 21세기 정치 군사 안보 상황에 걸맞게 동맹관계를 더욱 발전시키기로 합의하는 한편, 주한미군 재조정 문제는 "상호 긴밀한 협의를 통해 한미 연합 방위능력을 제고하는 방향으로 해야 한다"는데 인식을 같이 했다.
윤영관(尹永寬) 외교통상부 장관은 29일(이하 한국시간) 새정부 출범후 처음으로 워싱턴에서 열린 한미 외무장관 회담에서 콜린 파월 미 국무장관과 이같은 사항들에 대해 합의했다.
▼관련기사▼ |
그는 "북한과 이라크는 기본적인 상황과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똑같은 방식(군사적 수단)으로는 해결하지 않기로 한미간에 합의했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북한이 핵재처리시설을 가동하기 전단계인 현상황을 유지할 경우 조건부 식량 및 에너지 지원을 통해 북한을 대화의 틀로 끌어오게 하는 형식의 로드맵(이정표)을 미측에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 장관은 이와 관련,"기본적으로 미국 정부가 북한을 대화 테이블에 유도하는데 있어 적극적 자세나 유연한 자세를 취하는게 좋다는 점을 미측에 전달했다"고 설명했다.
파월 장관은 "윤 장관이 북한 상황과 관련해 우리가 추진하게될지도 모르는 로드맵을 제시했다"며 "나는 이를 흥미로운 접근법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윤 장관은 "파월 장관을 비롯해 콘돌리자 라이스 보과관 및 의회 지도자들 대부분이 한국의 이라크 파병 방침에 깊은 감사의 뜻을 전달해왔고, 한·미동맹의 굳건한 관계를 재확인했다"고 말했다.
미측은 이날 회담에서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평화번영정책'에 대해 지지한다는 입장도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미 양국은 또 회담에서 5월중 노 대통령과 조지 W. 부시 대통령과의 첫 정상회담을 개최키로 하고 구체적인 일정을 협의해나가기로 했다.
우리 정부는 이와 함께 북한문제를 포괄적으로 협의하기 위한 양국의 국방·외교장관간 '2+2' 회담 등 고위급 집중협의체 구축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윤 장관은 이날 오후 도널드 럼즈펠드 국방장관을 만난 뒤 도쿄(東京)로 떠나 30일 오후 가와구치 요리코(川口順子) 일본 외무장관과 한·일 외무장관회담을 가졌다. 윤 장관은 31일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를 만난 뒤 방미 및 방일 일정을 마치고 귀국한다.
워싱턴=김영식기자 spear@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