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전 오후 두 차례에 걸쳐 3자가 모두 참여하는 형식으로 6시간에 걸쳐 진행된 이날 회의에서 미국은 북한이 검증가능한 방식으로 핵무기 개발 프로그램을 영구히 중단해야 한다고 요구했으나, 북한은 미국이 먼저 ‘대(對) 조선 적대시정책’을 중단해야 한다고 맞선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 수석대표인 이근(李根) 외무성 부국장은 “이라크전쟁을 통해 나라의 안전과 민족의 자주권을 수호하기 위해 강력한 물리적 억제력이 있어야 한다는 교훈을 얻게 됐다”는 강경한 입장을 내세우면서 미국측 대표단을 압박했다고 외교소식통들이 전했다.
▼관련기사▼ |
이와 관련, 한 외교소식통은 “북한의 이 같은 입장은 미국에 북한의 체제보장을 우회적으로 요구한 것으로 그리 우려할 대목은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미국 수석대표인 제임스 켈리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는 북핵 문제와 대북 지원문제를 포괄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한국과 일본이 다자회담에 참여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으나, 북한 대표단은 북핵 문제 등 기본관심사를 해결한 뒤 한국과 일본의 참여문제를 논의하자고 주장했다.
북-미-중 대표단은 24, 25일 연속회담을 갖고 이견에 대한 절충을 계속할 계획이다.
한편 콜린 파월 미 국무장관은 이날 CBS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회담은 핵포기 설득을 위한 첫 단계”라며 “그러나 첫 회담에서는 구체적인 제안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파월 장관은 또 미 국방부가 김정일(金正日) 체제의 제거를 추진하는 비밀메모를 회람시켰다는 보도에 대해 “북한의 정권 전복은 대통령의 의제에 오른 적이 없다. 대통령은 외교적, 평화적인 해결을 추구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안보 관련 장관 및 보좌관 회의에서 “시작은 3자회담으로 했으나 성공적인 마무리를 위해서는 다자회담으로 발전할 것으로 보인다”며 “다자든 양자든 회담의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대화로 평화적으로 문제 해결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베이징=황유성특파원 yshwang@donga.com
베이징=김영식기자 spear@donga.com
김정훈기자 jnghn@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