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 대통령은 “강자의 횡포를 용납하지 않는 시민적 용기가 건강한 민주사회를 만든다고 보며, 강자끼리 타협하는 부정부패 반칙 특권의 카르텔이 형성되면 거기에 부정 반칙이 생기고 약자는 짓밟히게 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노 대통령은 또 “정부의 신뢰를 손상하는 보도가 나왔는데도 아무 조치도 하지 않고 넘어가면 직무유기이다”면서 “(정부의) 일이 잘못됐으면 고치고 보고하고, 보도가 잘못됐으면 피곤하더라도 반드시 고치고 보고해 달라”고 주문했다.
노 대통령은 이어 “그렇게 하려면 여러분도 몸가짐 조심하고 일을 완벽하게 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며 “(언론과의) 긴장관계가 존재하고 감정이 상하면 (언론으로부터) 공격이 생길 수 있을까 그런 불편이 있겠지만, 그런 불편을 감수하는 게 보다 합리적인 사회로 가는 과정이다”고 강조했다.
부정부패 척결과 관련, 노 대통령은 “시민통제와 시민고발, 시민쟁송(爭訟)제도를 만들어 시민들이 당사자 적격을 따질 수 있는 범위를 넓힘으로써 시민적 정의를 위해 쟁송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시민들이 투명하게 공개된 행정과 행정정보에 근거해 옳고 그름을 사법적 절차에 의해 다툴 수 있게 최대한 (정부를) 열자”고 강조했다.
공무원 조직개혁 문제와 관련, 노 대통령은 “공무원에 대해 나는 반감을 갖고 있지 않으며, 자부심이 강하고 열정이 강한 엘리트 공무원들이 한국 경제의 견인차 역할을 했다고 본다”면서 “공무원은 개혁대상이 아니라 스스로 개혁할 주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정훈기자 jnghn@donga.com
![]() | ![]() ![]()
|
| |
![]() |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