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 대통령은 “너무 가혹하다. 대통령과 가족도 사생활이 있다는 것을 인정해달라”고 말했으나 역대정권에서 대통령친인척 비리를 숱하게 목도한 국민은 대통령가족도 철저한 검증과 감시를 요하는 ‘준(準)공인’이라고 생각한다. 노 대통령은 또 비리 부정 범법이 없다고 강조했으나 국민의 일차적인 관심사는 도덕성과 윤리성이다. 그리고 비리 부정 범법 여부는 진상이 소상히 규명된 뒤에나 판단할 일이다.
노 대통령의 호소가 설득력을 가지려면 먼저 국민의 궁금증이 깨끗이 가셔야 한다. 그러나 기자회견에도 불구하고 남은 의문점이 많다. 노 대통령의 ‘오랜 동업자이자 동지’로 조만간 법정에 서게 될 안희정씨가 나라종금으로부터 받은 정치자금의 최종사용자가 누구인지도 아직 안개 속이다.
또한 채무관계로 자연스럽게 건평씨 재산이 됐다는 땅은 제대로 소유권이전절차를 밟았는지, 일반적 거래와는 달리 이득을 주고받지 않는 ‘호의적 거래’란 뭔지, 정치인 후원회장은 개인빚까지 갚아주는 것인지, 그런 거래나 변제는 합법적인 것인지, 권력 접근이 용이한 정치인의 경제활동이 과연 일반인의 경제활동과 같을 것인지 등 몇 가지 새로운 의혹도 생겼다.
노 대통령이 기자회견까지 한 마당에 더 이상 꺼릴 게 뭐가 있겠는가. 소모적 논쟁을 시급히 종식시키기 위해서라도 시민단체의 요구처럼 부패방지위원회나 검찰에 객관적인 진상조사를 의뢰하는 게 정도라고 생각한다. 건평씨 재산의혹의 명쾌한 정리는 임기가 4년 8개월여나 남은 노 대통령에게 독이 아니라 약이 될 것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