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교육청은 “NEIS를 강행하겠다는 의지는 변함없다”며 강경 입장을 고수하고 있고 일부는 “교육부의 지침을 기다려 보겠다”며 다소 유보적인 반응을 보이는 등 태도가 엇갈리고 있다. 서울 대구 경북 경남 대전 부산 충남 인천 광주 전북 제주교육청 등은 “26일 시도교육감들이 합의한 내용에서 변한 것이 없다”며 예정대로 NEIS를 강행할 방침이다.
▼관련기사▼ |
- 盧 "내 성질 보여주고 싶었는데 먹히지 않아" |
유인종(劉仁鍾·서울시교육감)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장은 “NEIS 이관율이 98%에 이른 상황에서 다시 학교종합정보관리시스템(CS)으로 되돌아갈 수는 없는 만큼 교육부의 재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경남도교육청은 27일 3개 지역신문에 “정부안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내용의 광고까지 실었으며 경북도교육청은 28일 학교 정보담당 교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회의를 열고 어떤 경우든 CS 방식은 채택하지 않을 방침임을 분명히 했다. 대구 등 일부 교육청은 “한시적이라도 CS를 시행하려면 수백억원의 추가 예산과 많은 전문 인력이 필요한데 더 이상의 예산지원은 하지 않겠다”는 강경론을 폈다. 반면 경기 울산 충북 등 일부 교육청은 “윤 부총리의 태도에 다소 변화가 있어 보이는 만큼 앞으로 교육부 지침을 지켜본 뒤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 윤옥기(尹玉基) 경기도교육감은 “교육부의 지침이 내려오면 일선 학교의 교장, 교감과 정보담당 교사들이 수용할 수 있는 것인지 따져본 뒤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교육부는 28일까지 ‘NEIS 시행 유보’ 결정에 따른 공식 지침을 내려보내지 못하고 있다.
연일 회의를 거듭하며 대책을 논의 중인 교육부 실무자들은 28일 윤 부총리의 갑작스러운 태도 변화에 “우리도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답답하다”고 말했다.
홍성철기자 sungchul@donga.com
NEIS와 관련한 전국 시도교육청의 입장(28일 현재) | |
교육청 | 입장 |
서울 부산 대구 경북 경남 충남대전 광주 전북제주 인천 | NEIS 시행 유보 수용 불가변화 없어 |
강원 | 30일 시도교육감 회의 뒤 입장 정리 |
충북 경기울산 | 교육부 지침 나오면 검토 후 결정 |
전남 | 타 시도와 의견 조율해 결정 |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