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盧대통령 주변의혹 해명]한나라당 盧해명 반박

  • 입력 2003년 5월 28일 18시 41분


28일 노무현 대통령의 기자회견 직후 한나라당 김문수(가운데) 이주영(왼쪽) 김영선 의원이 반박 기자회견을 갖고 ‘남은 의문점’들에 대한 대통령의 해명을 촉구하고 있다.-서영수기자
28일 노무현 대통령의 기자회견 직후 한나라당 김문수(가운데) 이주영(왼쪽) 김영선 의원이 반박 기자회견을 갖고 ‘남은 의문점’들에 대한 대통령의 해명을 촉구하고 있다.-서영수기자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형 건평(健平)씨의 재산의혹을 추적해온 한나라당 김문수(金文洙) 의원은 28일 노 대통령의 기자회견에 대해 “새로운 의혹만 증폭시켰다”고 평가절하했다.

김 의원과 이주영(李柱榮) 의원은 이날 기자회견을 갖고 노 대통령의 회견 내용 중 앞뒤가 맞지 않는 대목을 조목조목 반박했다. 특히 노 대통령이 사실상 경영에 나섰던 생수공장 장수천의 운영 및 처분 과정 등에 대한 청와대의 해명에 의문을 제기했다.

두 의원은 우선 청와대가 별도의 해명자료에서 ‘(생수통이 자산가치의 전부인) 오아시스워터를 2001년 3월 ㈜오아시스에 4억5000만원에 양도했다’고 밝힌 대목을 문제 삼았다.

김 의원은 “생수통 가치는 얼마 되지 않지만, 특허청에 등록된 상표권과 2만 가구의 판매처를 가진 판권이 자산가치”라며 “빚이 많아 회사가 경매에 처할 상황이었다면 생수회사의 생명인 상표와 판권이 있는 오아시스워터를 분리해서 매각한 이유가 무엇인가”라고 반문했다.

이 의원은 이어 “오아시스워터의 매각대금 4억5000만원의 사용처가 불분명한 것도 의혹으로 남는다”며 소명자료 제출을 요구했다.

한국리스여신측이 채권보전을 위해 장수천 연대보증인의 재산에 대해 가압류 조치를 했을 때 노 대통령의 재산이 가압류 대상에서 빠진 것도 의심스럽다고 김 의원은 주장했다. 청와대측은 자료를 통해 ‘당시 아시아신용정보의 재산조사 결과 대통령과 선봉술씨(운전사)는 가압류할 재산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장수천의 실질적 소유주인 노 대통령은 당시 해양수산부 장관으로서 급여를 타고 있었고 개인사무실까지 갖고 있었다”며 결정과정에서의 특혜 의혹을 제기했다.

한나라당은 이어 건평씨의 재산 문제에 대한 추가 의혹을 제기했다.

김 의원은 이날 “건평씨가 국세청에 미등기 전매로 인해 2억1000만원의 추징금을 물게 됐다는 증거를 일부 확보했다”며 “관련 증언과 자료가 정리되는 대로 공식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추징금을 물게 된) 문제의 땅은 지금까지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새로운 땅”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경남 김해시 진영읍 신용리 땅을 판 김기호(金基浩)씨가 한나라당이 만든 녹취록의 조작가능성을 제기한 데 대해 당시 대통령후보 법률특보였던 김정훈(金正薰) 변호사는 “본인이 자발적으로 관련 내용을 진술했기 때문에 조작 운운하는 것은 터무니없다”며 “앞으로 법정 공방에서 필요하다면 녹음테이프를 제시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반면 민주당은 “온갖 억측과 의혹을 말끔히 해소시킨 시의 적절한 회견이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문석호(文錫鎬) 대변인은 “이번 사안에 대한 국민적 관심사는 채무 상환 등의 과정에서 권력형 비리가 있었느냐인데, (대통령의 직접 해명으로) 그런 의혹은 정치공세에 불과한 것임이 밝혀졌다”며 “정치권은 소모적 논쟁을 중단하고, 민생문제에 전념하자”고 말했다.

정연욱기자 jyw11@donga.com

박성원기자 swpark@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