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지어 여권 핵심에서는 문재인(文在寅) 대통령민정수석비서관 등 이른바 ‘부산라인’과 안희정(安熙正) 민주당 국가전략연구소 부소장 등 ‘386그룹’간의 알력이 갈수록 심각해지는 양상이어서 노 대통령에게 이를 직보해야만 할 상황이라는 진단까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측근 그룹간의 불신 기류는 곳곳에서 감지된다. 우선 민정수석실은 강금원(姜錦遠) 창신섬유 회장이 기자회견에서 여러 차례 ‘문재인 때리기’를 한 배후에 강 회장과 가까운 안 부소장 쪽의 영향이 작용하고 있다는 의심을 버리지 않고 있다.
이와 관련, 청와대에서는 안 부소장과 가까운 민정수석 산하 공직기강비서관실 행정관(3급) B씨가 최근 홍보수석실로 자리를 옮긴 것을 놓고도 민정수석실과 386라인간의 힘겨루기의 연장선상에서 보는 분위기다.
B씨의 보직 이동은 직속상관인 문 수석이나 공직기강비서관에게 사전 보고 없이 추진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청와대 내에서는 “나라종금 사건 때 민정수석실이 안 부소장을 챙겨주지 않은 데 대한 안 부소장과 386그룹의 불만표시였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B씨는 “나의 보직 이동은 홍보수석실에서 요청해 추진된 것은 사실이나 나는 안 부소장의 계보도 아니고 더구나 권력 갈등과도 무관하다. 어차피 나는 내년 총선 출마를 위해 청와대를 그만두려고 했다”고 말했다.
청와대 일각에서는 한나라당의 당권주자인 김덕룡(金德龍) 의원이 6일 “경제를 모르는 문 수석이 노사문제에 개입해선 안 된다”며 문 수석을 비난한 것도 심상치 않게 받아들이고 있다. 김 의원이 과거 안 부소장과 이광재(李光宰) 청와대 국정상황실장을 보좌관으로 데리고 일해 서로 통할 수 있는 사이라는 점을 주목하는 것이다.
그러나 김 의원측은 “(김 의원의 발언은) 한나라당 당권 후보로서 경제 관련 문제점 등을 지적한 것이었지 특정인을 공격하거나 지원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고 밝혔다.
최영해기자 yhchoi65@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