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민주당의 수도권 의원들 사이에서 당이 정부를 이끌어야 한다는 ‘견인론(牽引論)’이 폭넓은 공감대를 얻고 있다.
이런 논의가 확산되는 배경에는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지지도 하락과 여당의 역할을 인정하지 않는 청와대의 독선적 국정운영 때문에 내년 총선에서 전통적 여당 프리미엄을 기대할 수 없다는 판단이 깔려 있다. 따라서 야당인 한나라당이 총선 때 들고 나올 ‘정부 심판론’이나 ‘견제론’에 맞설 수 있는 대안은 ‘강한 여당의 국정 견인론’밖에 없다고 의원들은 입을 모은다.
경기도에 지역구를 갖고 있는 신당 추진파의 한 의원은 20일 “우리가 추구하는 신당은 ‘노무현당’이 아니다. 그렇다고 정부를 비판만 하는 야당이 될 수도 없다”며 “신당은 국정운영의 비전을 내놓고 노무현 정부를 이끌어가는 정당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중도파인 함승희(咸承熙·서울 노원갑) 의원도 “야당의 견제는 그저 견제일 뿐이다”며 “여당인 민주당에 힘이 실려야 청와대와 정부에 대해 비판할 것은 비판하고, 격려할 것은 격려하며 ‘책임 있는 국정 운영’이 이뤄질 수 있다”고 말했다. 정대철(鄭大哲) 대표가 18일 ‘고위당정정책조정회의’에서 “청와대와 정부가 민주당을 (여당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며 당정간 동맥경화증을 비판한 것도 ‘견인론’과 맥이 닿는다고 한 측근이 말했다.그러나 당내 일각에선 “내년 총선은 결국 ‘참여정부에 대한 중간 평가’가 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견인론’이 먹혀들어갈 여지가 그리 크지 않을 것”이란 회의적 시각도 있다.부형권기자 bookum90@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