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임 건의, ‘호락호락 굴복 않는다’=노 대통령은 해임건의를 수용하지 않을 경우 정국이 불안해질 것이라는 우려에 대해 “군사정권 시절 만날 사회혼란을 얘기하면서 저항하지 말 것을 요구했다”면서 “시끄러우냐 아니냐를 갖고 은근히 밀어붙이려는 생각은 옳지 않다”고 반박했다.
▼관련기사▼ |
- 金행자 해임거부 찬성 48%, 반대 36% |
또 “국회가 (해임 건의를 수용하지 않았다며) 국감을 거부하면 직무유기다”고 못박은 뒤 “국회 운영이 잘 안 돼 법안 통과나 예산안 처리가 잘 안되면 한나라당도 국민한테 칭찬받지는 못할 것이다”고 한나라당을 압박했다.
법적 구속력 문제도 “거의 모든 헌법학자가 법적 구속력이 없다고 한다. 한나라당 최병렬(崔秉烈) 대표가 헌법 위반을 얘기한 것은 나한테 은근히 겁주신 것이다”고 반박했다.
이어 노 대통령은 “명색이 대통령이면 장관이 부당하게 공격받는데 소신 있게 지켜줄 줄 아는 최소한의 도리가 필요하다. 덜컥 굴복해서 해임하면 장관들이 어떻게 대통령을 믿고 국정을 운영하겠느냐”고 덧붙였다.
노 대통령은 “학벌 없는 사회, 보통 사람들의 꿈의 상징으로서 군수 출신인 김 장관을 발탁했다”면서 “김 장관은 코리안 드림의 상징이다. 내가 키워줄 수 있으면 최대한 키워주고 싶다”라고 김 장관에게 강한 애정을 표시하기도 했다.
▽신당 관여 안 한다=노 대통령은 “대통령이 정당활동에 관여하는 것은 권리이자 자유이지만 부작용이 많아서 관여하지 않는 게 좋다고 판단하고 있다”며 기존의 ‘불관여’ 원칙을 거듭 강조했다. ‘민주당 분당이 가시화할 때 당적 이탈을 할 것인가’라는 질문에는 “그 얘기는 주제로 삼지 말자”고 피해갔다.
각료들의 총선 출마 문제에 대해선 “단 한 사람의 장관도 출마를 권유한 일 없고 점찍어놓은 일이 없다. 각기 자기 판단이다”면서 “정부가 중심을 잡는 것이 총선에서 몇 석 더하고 덜하고보다 훨씬 중요하다”고 말했다.
▽‘검찰 길들이기’는 오해=이범관(李範觀) 광주고검장이 자신을 비판한 데 대해 노 대통령은 “자세한 내용을 모르고 한 얘기 같아서 굳이 대응하지 않겠다”면서 “내부통신망에 의사 표시한 것 가지고 항명이니 뭐니, 삭제하니 그런 얘기하는 것도 적절치 않다”고 말했다.
김정훈기자 jnghn@donga.com
최영해기자 yhchoi65@donga.com
![]() | ![]() ![]()
|
| |
![]() |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