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분당사태 가속화]신당-잔류파 ‘한가위 대접전’

  • 입력 2003년 9월 7일 18시 38분


민주당 신당파와 당 잔류파가 '여론몰이'의 대목인 추석을 앞두고 본격적인 세(勢) 결집에 나섰다.

신당파는 7일 국정감사 전 집단 탈당해 원내교섭단체를 구성하기로 하는 등 '속도전'에 돌입했고, 신당에 부정적인 중도파와 비주류 측은 '당 체제 정비' 카드를 내세워 연대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신당파, "이젠 루비콘 강을 건넜다"= 신당파는 김근태(金槿泰) 고문 등이 가세하자 크게 고문된 분위기. 이들은 "창당주비위 참여 의원이 이날 현재 43명이며 갈수록 늘 것"이라고 호언했다.

특히 이날 서울 평창동 올림피아 호텔에서 열린 신당 워크숍에서 이상수(李相洙) 이호웅(李浩雄) 의원이 "더 이상 좌고우면할 필요도 시간도 없다"며 국감 전 원내교섭단체 등록을 주장하자 1명을 제외한 참석자 전원이 동의했다는 후문.

신당파 한 핵심의원도 "비주류 측 정균환(鄭均桓) 원내총무의 지휘 아래 국감을 치를 수는 없다"며 결행 일자를 앞당기게 된 배경을 설명했다.

신당파는 1차로 국감 전 집단 탈당한 뒤, 이후 단계적으로 추가로 의원들을 합류시킨다는 계획아래 중도파 의원 등을 집중 설득한다는 복안이다. 신당파는 또 핵심의원 29명으로부터 회비를 거둬 이날 현재 4억3000만원의 창당준비자금도 모은 상태이며, 추가 창당 자금 확보 문제도 이날 심도있게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교섭단체 이름과 대표는 추후 논의키로 했다. 교섭단체 대표로는 김근태 고문 등이 거론되고 있다.

한편 한나라당 탈당파 및 개혁당과의 연대 또는 통합 문제는 국감 이후 시간을 두고 논의키로 했다고 주비위 대변인격인 정동채(鄭東采) 의원은 밝혔다.

▽잔류파, '노무현 대통령 책임론' 정면 제기= 민주당 잔류 입장을 취하고 있는 중도파와 비주류 의원들도 '당 사수'라는 공통분모를 갖고 막후 연대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특히 분당 없는 통합신당을 주장해 왔던 조순형(趙舜衡) 추미애(秋美愛) 의원 등 중도파 의원 13명은 6일 회동해 '통합모임'을 결성하고 신당파를 분열주의라고 비판하고 나섰다. 이들은 특히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책임론을 정면으로 제기했다. 조 의원 등은 이날 기자간담회를 갖고 "민주당의 분열 사태에 대해 노 대통령이 수수방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박상천(朴相千) 최고위원은 "청와대가 신당작업의 숨은 지휘탑이라는 사실을 알만한 사람은 다 안다"고 주장했다.

한편 정통모임 의원들은 이날 오찬 회동을 갖고 정대철(鄭大哲) 대표의 분명한 거취 표명을 촉구하기로 했다.

정용관기자 yongari@donga.com

부형권기자 bookum90@donga.com

▼민주당 입장 분포도▼

민주당 입장 분포도(7일 밤 현재)

▽주비위 참여(기존31명+추가 9명=40명)

김덕배 김성호 김원기 김택기 김희선 남궁석 박양수 송영길 신기남 오영식 유재건 이강래 이미경 이상수 이재정 이종걸 이창복 이해찬 이호웅 임종석 임채정 장영달 정동영 정동채 정세균 정장선 조배숙 천용택 천정배 허운나 홍재형(31명)

-강봉균 김근태 김기재 김덕규 김태홍 문석호 배기선 설송웅 송석찬 (추가 입장 표명, 9명)

▽관망파(19명)

김상현 김운용 박병석 박인상 송훈석 유재규 이만섭 이낙연 이용삼 이원성 이정일 이희규 정대철 조한천 최용규 함승희

-김명섭 송영진 신계륜(신당주비위측은 신당 참여파로 분류)

▽통합모임(분당 반대 서명파 주축·21명)

강운태 고진부 구종태 김경재 김영환 김태식 김효석 박주선 박병윤 배기운 심재권 설 훈 이 협 장태완 전갑길 정범구 정철기 조성준 조순형 추미애 한화갑

▽당 사수파(정통모임 주축·20명)

김경천 김성순 김옥두 김충조 김홍일 박상천 박상희 박종우 유용태 윤철상 이윤수 이훈평 장성원 장재식 정균환 조재환 최명헌 최선영 최영희 최재승

*주:김방림 의원은 구속 중

▼신당 43명 창당땐 국고보조금 13억▼

민주당이 급속히 분당 국면으로 접어들면서 벌써부터 국고보조금과 내년 총선의 선거 보조금 배분이 어떻게 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7일 현재 신당주비위측에 합류한 의원 43명으로 신당이 창당된다고 가정할 경우 올 4·4분기 정당 보조금으로 민주당은 19억7500여만원, 신당은 13억4900여만원을 받게 된다. 보조금 중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기본 지급 비율은 양당 모두 같지만 의석수와 최근 선거에 따른 득표수 비율에 따라 양당의 보조금엔 차이가 난다.

특히 신당은 최근 총선 결과를 기준으로 지급받는 ‘득표수 비율에 따른 보조금’(전체 지급액의 21.5%)은 한 푼도 받지 못한다. 대신 민주당 잔류파는 민주당이 2000년 총선 결과(112석)에 따라 매분기 받아온 5억9000여만원을 고스란히 ‘인계’하게 된다.

정당 보조금과 별도로 한 해 보조금 총액에 해당하는 금액을 한꺼번에 지급받는 총선용 선거 보조금은 양측간에 더 차이가 난다.

민주당은 득표수 비율에 따른 보조금 23억2600여만원을 포함해 80억3200여만원을 받지만, 신당은 이보다 26억여원 적은 53억9600여만원을 받게 된다.

이에 신당주비위의 한 관계자는 “새롭게 출범하면서 이 정도면 적지 않은 금액을 지원받는 것”이라며 “어차피 민주당 재정 상태가 좋지 않아 부채가 20억원이 넘는 만큼 법적으로 민주당 잔류파측이 선거 득표수 비율에 따른 보조금뿐만 아니라 부채도 인계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이승헌기자 ddr@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