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 대통령은 간담회에 이어 점심식사, 티타임까지 2시간 가량 출입기자들과 대화를 나눴고, 점심식사와 티타임 때는 미리 '오프 더 레코드(비보도)'를 요청한 뒤 여러 정책현안에 대해 기탄없이 자신의 견해를 밝혔다.
지난달 25일 대통령비서실 개편 이후 이른바 '오보(誤報)' 대응이 1건도 없고, 청와대소식지인 '청와대 브리핑' 역시 언론보도를 비판하는 내용이 줄고 정책홍보에 치중하고 있는 것도 달라진 분위기의 하나다.
이러한 흐름은 그동안의 언론 대응이 '긴장' 쪽에만 무게가 두어지면서 언론과의 대화가 실종됐고, 그 바람에 본래의 취지와 달리 불필요하고 과도한 마찰을 불러일으킨 것 아니냐는 일각의 지적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노 대통령이 7일 간담회 서두에 "100명 이렇게 되면 너무 많고, 일요일 같은 때 이런 분위기 같으면 편안하게 기사가 안 되면서도 서로 이해를 깊게 할 수 있는 얘기를 하는 게 좋을 것 같다"고 말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청와대 기자실을 개방한 이후 출입기자가 270여명으로 크게 늘어나면서 자유스런 대화의 기회가 사라지면서 언론과 거리감이 생겨났다는 점을 인정한 것이기도 하다.
이처럼 청와대의 기조가 바뀌고 있는 데에는 비서실 개편 이후 언론인 출신인 이병완(李炳浣) 홍보수석비서관과 정만호(鄭萬昊) 의전비서관의 막후 역할에 따른 것이라는 얘기도 나온다. 실제로 노 대통령의 공식 기자회견이 아닌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를 가진 것도 두 사람의 작품이라는 후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언론과의 긴장관계라는 큰 기조에는 변함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노 대통령은 8일 지령(紙齡) 2만호를 맞은 대한매일에 낸 특별기고문을 통해 "정부와 언론이 건전한 상호긴장관계를 유지해야 하며, 왜곡보도에 대해서는 합법적으로 대응해서 바로잡아야 한다"고 기존의 입장을 거듭 강조했다.
김정훈기자 jnghn@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