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희상(文喜相) 대통령비서실장은 최근 김 장관이 사표를 내면 수리될 가능성을 비췄다. 김 장관에 대한 해임건의안이 국회에서 의결된 직후 김 장관을 격려하던 청와대 분위기와는 딴판이다.
행자부의 한 고위 관리는 14일 “김 장관은 해임건의안이 의결된 때부터 사퇴하겠다는 뜻이 강했기 때문에 이번 주말까지는 사표를 낼 것”이라며 “행자부가 태풍 피해 복구 주무부처이지만 다음 주 국정감사가 시작되기 전 김 장관이 거취를 결정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행자부에 대한 국감이 국감 첫날인 22일로 잡혀 있고 한나라당이 김 장관에게 ‘장관 대접’을 하지 않겠다는 방침이어서 김 장관이 사표 제출을 다음 주로 미루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행자부 안팎에선 벌써부터 후임 장관설이 분분하다.
김병준(金秉準·49)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장, 김영평(金榮枰·59) 고려대 행정학과 교수, 조영택(趙泳澤·52) 국무조정실 기획수석조정관, 정채융(丁采隆·55) 공무원연금관리공단이사장, 원혜영(元惠榮·52) 부천시장, 김정길(金正吉·58) 전 행자부 장관 등이 자천타천으로 후임 행자부 장관 물망에 오르고 있다.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측근 인물로 알려진 김 위원장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시절 정부혁신 업무를 일단 마무리하고 입각하겠다는 뜻을 내비쳐온 것으로 알려졌다. 김 교수는 5월 정부 기관의 각종 정책과 업무를 평가하는 정책평가위원회 위원으로 지명된 인물이다.
관료 출신으로는 전남 완도 출신인 조 조정관이 내무부 시절부터 이어진 호남 계보의 명맥을 잇는 대표 주자로 평가받고 있고 경남 남해 출신인 정 이사장은 행자부 영남 인맥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현 정부 출범 때 행자부 장관직을 희망했던 것으로 알려진 원 시장과 부산 출신으로 노 대통령과 막역한 사이인 김 전 장관도 거론된다. 하지만 내년 총선을 앞두고 선거 주무 부처 지휘권을 정치인에게 넘기면 야당이 반발할 가능성이 있어 노 대통령의 결정이 주목된다.
이종훈기자 taylor55@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