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의원들은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최근 영남지역 언론사와 가진 인터뷰에서 “(파병을 한다면) 적어도 뭔가 한반도의 안정에 대해 예측 가능한 무엇이 필요하다”며 마치 이라크 파병을 북한 핵문제 해결을 위한 6자회담과 연계시키는 듯한 발언을 한 데 대해 적절치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만섭(李萬燮·민주당) 의원은 “파병 문제를 북핵과 연계시키는 것은 타당성도 없고, 합리적이지도 않고, 올바른 태도가 아니다. 또 대외적으로 조건을 내건다는 게 있을 수 있는 것이냐”고 물었다.
이 의원은 이어 윤성식(尹聖植) 감사원장 임명동의안이 부결된 사례를 상기시킨 뒤 “대통령이 이라크 파병 문제도 불쑥 국회에 던져놓고 알아서 하라는 식으로 나오면 안 된다”며 국회와 충분한 대화를 가질 것을 주문했다.
유한열(柳漢烈) 박세환(朴世煥·이상 한나라당) 의원도 각각 “(파병의 대가로) 뭘 줘야 한다고 말하는 것은 어른스럽지 못하다” “파병 문제를 북핵과 연결시키면 안 된다. 핵 문제에 대해서는 한미가 일관되게 한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가세했다.
박 의원은 “파병 결정의 타이밍을 놓치거나 불가 결정을 하게 되면 미국이 주한미군 일부 병력을 차출할 수 있고 이는 한미 동맹관계의 균열로 이어질 수 있다”며 파병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경재(李敬在·한나라당) 의원은 “대통령이 리더십을 발휘해 조속히 결정을 내려야 한다”고 말했다.
천용택(千容宅·민주당) 의원은 파병 문제에 대한 찬반 입장을 밝히지는 않았으나 “주한미군 전력을 대체하려면 50억∼70억달러가 들고, 유사시 증원군 규모까지 감안하면 500억달러가 넘는 비용이 들어간다”는 점을 강조했다.
나종일(羅鍾一) 사무처장은 이에 대해 “추가 파병과 북핵 문제는 전혀 별개의 사안이며 연계시킬 생각은 없다”고 답변했다.
정용관기자 yongari@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