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기사▼ |
-청와대에 '비화 휴대폰' 지급 논란 -“지자체예산에 秘話단말기항목” |
이에 따라 정부가 휴대전화의 도감청 가능성을 고의로 은폐해온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일고 있다.
박 의원은 이날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의 정보통신부 국정감사에서 “청와대가 성능이 개선된 ‘비화 칩’이 내장된 휴대전화를 지난해 말부터 일부 국무위원 및 청와대 비서관에게 지급하려 했으나 보류했다가 노무현(盧武鉉) 정부 출범 직후부터 사용했다고 청와대 관계자가 전했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해 청와대의 다른 관계자는 9월 초 본보 기자와 만나 “청와대 통신파트에서 일반 휴대전화를 분해한 뒤 비화 칩을 부착한 휴대전화기를 제작한다”고 밝혀 박 의원의 주장을 뒷받침했다.
진대제(陳大濟) 정보통신부 장관도 이날 “휴대전화를 감청하더라도 들을 수만 있다. 휴대전화의 비밀번호 등이 유출돼 감청되지 않도록 잘 관리해야 한다”며 휴대전화의 도감청 가능성을 사실상 인정했다.
박 의원은 또 “정통부가 ‘2002년 8월 31일부터 비화 서비스를 시작하는 만큼 비화 휴대전화기 구입 및 이용요금 예산을 확보하라’는 공문을 2001년 각 정부 기관에 발송했다”고 폭로했다.
이에 진 장관은 “비화 휴대전화 구입을 위한 공문은 하달했지만 도감청이 불가능하다고 해서 예산에 반영하지 않았으며 청와대나 국무위원도 비화전화기를 사용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권영세(權寧世·한나라당) 의원은 이날 국감에서 “올 2월 휴대전화 제조업체인 ‘팬택&큐리텔’이 도청이 불가능한 비화 휴대전화를 발매하려 하자 국가정보원 등이 사업을 불허하는 바람에 시중에 배포된 시제품 200여개를 긴급 회수했다”고 주장했다.
나성엽기자 cpu@donga.com
이헌진기자 mungchii@donga.com
이승헌기자 ddr@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