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장관은 이날 내외신 기자회견에서 "이는 중단되더라도 1년 후 재개될 수 있다는 점을 전제로 한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앞서 KEDO 비공식 집행이사회는 4일 대북 경수로 공사 일시중단을 결정했다. 비공식 집행이사회에서 한국과 일본은 일시중단을, 미국은 완전중단을 각각 주장했다.
한편 윤 장관은 이라크 추가파병과 관련, "최근 여러 변화가 있고, 그것을 심각히 생각하고 있다"며 "최고정책결정권자의 입장은 국민안위가 최대 관심사인 만큼 그 전제 하에서 대외관계와 현지 상황, 파병 관련국의 이념적 지향, 국익 차원을 종합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전투병이냐 비전투병이냐 이분법적으로 접근하는 데 찬성하지 않는다"며 "미국이 요구한 안정화군을 고려하겠지만, 현지의 상황도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언급은 정부 방침이 이라크 내 치안상황 악화 등을 고려, 전투병보다는 비전투병 파병 쪽으로 기울고 있다는 관측도 낳고 있다.
윤 장관은 또 "미국을 방문중인 파병협의단은 우리 사정에 맞게 파병계획을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얻고 관련 사항을 미국과 협의하러 간 것이지, 우리의 결정사항을 이야기하러 간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2차 북핵 6자회담 개최 시기와 관련, 윤 장관은 "지난 94년 (1차 북핵 위기의) 경우도 협상을 통해 푸는 데 2년이 걸린 점을 감안하면 분위기를 최대한 협상에 우호적으로 만들면서 개최를 서두르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여러 현안의 복잡한 성격을 고려할 때 내달 중에 열리는 게 좋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의 '동시행동 원칙'에 대해 "미국은 북한이 핵폐기 용의를 선언하고, 실제 (폐기 절차에) 진입하고, 완료하는 각 세부 단계마다 상응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밝혔다"며 "2차회담에서 이행방법에 대한 합의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디지털뉴스팀·뉴욕=홍권희특파원 konihong@donga.com
김승련기자 srkim@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