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DO 이사회를 주도하고 있는 미국은 이날 국무부 브리핑에서 “우리는 경수로 사업을 끝내기 바란다”고 발표, 건설 재개에 응하지 않을 방침임을 분명히 했다.
롤랑드 트리코 KEDO 대변인은 성명에서 “이사회는 경수로의 장래에 대해 협의했다”면서 “각 정부에 논의 내용을 보고한 뒤 21일까지 결정 내용을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찰스 카트먼 KEDO 사무총장은 이날 뉴욕의 북한 유엔대표부를 방문해 경수로 공사 중단 방침을 전달했다고 아사히신문이 보도했다.
뉴욕 타임스는 “조지 W 부시 행정부는 북한의 핵에너지 프로그램을 되살릴 의도가 없기 때문에 경수로 사업을 아예 끝내려고(kill) 할 것”이라며 “국무부 발표는 제네바 합의에 조종을 울린 것”이라고 분석했다. 하지만 윤영관(尹永寬) 외교통상부 장관은 5일 내외신 기자회견에서 “경수로 건설의 기반인 제네바합의의 기반이 상당히 취약해졌다”면서도 “북핵 문제의 진전에 따라 KEDO 처리방향이 모색될 것”이라고 말해 사업 재개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윤 장관은 “경수로 공사 진행이 그동안 지지부진했기 때문에 (장비와 인원의) 철수가 자연스럽게 진행되어 왔다”고 덧붙였다.
제네바 합의의 주역이었던 로버트 갈루치 전 미 국무부 차관보는 뉴욕 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합의에 완전히 종지부를 찍는 것은 실수”라고 말했다.
한국 미국 일본 유럽연합(EU) 등은 제네바합의 이후 KEDO를 통해 경비를 각출, 경수로를 건설해 왔다. 지난해 북핵 문제가 불거진 이후 미국은 경수로 사업의 ‘완전 중지’를 요구한 반면 한국은 ‘완전 중지는 안 된다’는 입장을 보여 왔다.
뉴욕=홍권희특파원 konihong@donga.com
도쿄=조헌주특파원 hanscho@donga.com
곽민영기자 havefun@donga.com
댓글 0